입력 | 2022-11-17
염증은 특정 부위의 손상이나 감염이 진행됐을 경우 이에 대한 손상을 줄이고 정상화하려는 우리 몸의 방어 반응이다. 면역세포를 이용해 해당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감염체를 제거 또는 막는 역할을 한다.
문제는 특정 부위에 염증이 지속되면서 발생하는 만성염증이다. 만성염증은 발생 시 해당 부위를 서서히 망가뜨린다. 초기에는 별다른 증상이 없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세포의 변형을 유발하고 면역체계를 과도하게 활성화해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된다. 골관절염이라 불리는 퇴행성관절염도 이와 같은 만성염증 질환에 속한다.
퇴행성관절염은 관절을 보호하고 있던 연골이 닳아 없어지며 뼈와 인대 등에 손상이 생겨 통증을 동반하는 염증성 질환이다. 초기에는 약간의 통증이 느껴지는 정도로 가볍게 여길 수 있으나, 이를 방치 시 통증이 점점 심해지면서 열감과 붓기를 동반하게 된다. 말기가 되면 심해진 통증으로 걷기조차 힘들며 관절의 변형까지 초래한다. 뿐만 아니라 관절에 생긴 염증은 혈액을 타고 온몸에 영향을 미친다. 최악의 경우 염증 매개체들이 뇌와 심장까지 전달돼 치매 또는 협심증과 같은 질환까지 초래할 수 있어 초기에 적절한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좋다.
관절염 치료는 크게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눌 수 있다. 보존적 치료는 증상이 심하지 않은 초기와 중기에 시행되며 약물치료, 주사치료, 물리치료, 체외충격파 등이 그 예이다. 다만 통증이 극에 달하는 관절염 말기에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데 이때 인공관절수술을 시행한다.
인공관절수술은 변성이나 마모가 발생한 관절과 연골을 제거하고 이를 대신할 인공관절을 관절 사이에 삽입하는 수술이다. 삽입된 인공관절이 관절 간의 직접적인 마찰을 방지하면서 통증과 염증의 발생을 막고 이를 통해 운동범위의 회복을 돕는다.
최근에는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새로운 인공관절이 도입 및 개발되며 관절염 말기 환자의 수술에 대한 부담을 낮추는데 기여하고 있다. 이에 대표적인 예가 3세대 디자인 인공관절이다. 3세대 디자인 인공관절의 가장 큰 장점은 기존 인공관절 대비 더 다양한 두께와 크기로 제작이 이뤄진다는 점이다. 환자의 관절 모양은 개인의 습관이나 생활방식, 걸음걸이에 따라 달라지는데 기존의 인공관절은 이를 충분히 적용할 수 없었고 수술 후 통증과 강직 등으로 이어지는 부작용을 낳았다. 3세대 디자인 인공관절은 이러한 부분을 최소화하고 환자의 관절 모양을 최대한 반영하여 제작되기 때문에 수술 후 환자가 느끼는 만족도가 높다.
퇴행성 관절염은 가장 흔한 염증성 질환 중 하나인 만큼 만성화되기 전 치료를 진행할 것을 권장한다. 3세대 디자인 인공관절은 무릎 모양과 크기에 맞게 제작되어 관절염 말기 심해지는 통증과 염증 완화에 효과적인 치료다.
국민 관절 건강 주치의 고용곤 원장이 들려주는 관절 건강 이야기.
무릎 퇴행성관절염, 인공관절, SVF 치료까지.
관절 건강과 치료에 이르는 이야기를 전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