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

길거리 악취 원인 ‘이것’, 함부로 만졌다간 독성물질이…

전종보 기자

이미지

사진= 클립아트코리아
매년 이맘때면 길에서 의문의 악취가 풍겨온다. 원인은 바로 ‘은행.’ 은행나무에서 떨어진 은행을 밟으면 오랫동안 냄새가 가시지 않을 때도 있다. 은행을 밟았다고 해도 함부로 만져선 안 된다. 냄새 때문만이 아니다. 맨손으로 은행을 만지면 은행 열매 껍질 속 독성물질이 손에 묻을 수 있다.

은행 열매 껍질에는 ‘빌로볼’, ‘은행산’ 등과 같은 독성물질이 들어있다. 은행에서 악취가 나는 이유도 두 물질 때문이다. 은행을 맨손으로 만지거나 은행을 만진 손이 얼굴에 닿으면 은행 속 독성물질이 눈 주변 피부와 결막 등에 흡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염증 매개 물질이 분비될 경우 국소 염증과 면역 반응이 나타날 위험이 있다.

실제 과거 국내에서 은행 열매를 만진 손으로 눈을 비빈 뒤 ‘독성 각결막염’이 발생한 사례가 보고되기도 했다. 대한안과학회지에 따르면, 해당 환자는 은행 열매를 만진 뒤 눈 주변을 비볐고, 이후 약 일주일 동안 심한 이물감, 통증, 시력저하 증상과 함께 눈에 끈적이는 점액성 분비물이 생겼다. 검사 결과, 은행 열매로 인해 생긴 ‘독성 각결막염’으로 진단됐다. 환자에게 독성 반응에 의한 끈끈한 점액성 분비물이 발견됐고, ​국소 스테로이드제와 항히스타민제를 사용한 후 증상이 빠르게 완화됐기 때문이다. 이 환자는 과거에도​은행 열매를 만진 손으로 눈 주변을 비빈 뒤 비슷한 증상을 경험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문제를 겪지 않기 위해서는 길에 떨어진 은행 열매를 만지지 않는 게 좋다. 어쩔 수 없이 만져야 한다면 반드시 고무장갑을 착용하고, 만진 후에는 즉시 손을 씻도록 한다.

은행을 조리해 먹을 때도 주의해야 한다. 은행알에는 청산배당체나 메틸피리독신, 아미그달린과 같은 독성물질이 들어있기 때문이다. 충분히 가열해야 하며, 한꺼번에 많은 양을 먹지 않는 것이 좋다. 갑작스럽게 많은 양의 메틸피리독신을 섭취하면 어지러움, 복통, 구토 등과 같은 증상을 겪을 수 있다. 성인은 하루 10개 이하, 어린이는 2~3개가 적당하다.


占싼딅뮞鈺곌퀣苑� 占쎌뮆�э옙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