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

"정기적인 커피 섭취, 사망률 31%까지 낮춰"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중국 연구팀, 7년간 17만여명 분석 결과

이미지

정기적인 커피 섭취가 사망 위험을 크게 낮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정기적인 커피 섭취가 사망 위험을 크게 낮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9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미국 일간지 '워싱턴 포스트'는 '정기적으로 커피를 마시는 사람은 7년간 사망 확률이 더 낮았다'란 제목의 19일자 기사에서 "커피의 사망 위험 낮추는 효과가 과학적으로 입증됐다"고 소개했다.

워싱턴 포스트 기사는 내과 분야 국제 학술지 '애널스 오브 인터널 메디신' 최근호에 실린 중국 학자의 연구 결과를 근거로 제시했다. 적당량의 커피(하루 최대 3.5컵)를 마시면 커피에 설탕을 소량(1 찻숟갈) 첨가하더라도 사망 억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중국 광저우 지난 의과대학 단 리우 박사팀은 약 7년간 17만1616명(평균 연령 56세)의 커피 섭취와 건강의 상관성을 추적했다. 연구 시작 당시 대상자는 모두 암ㆍ심혈관 질환 환자가 아니었다. 추적 결과, 커피를 마시지 않는 사람 대비 무가당 커피를 즐긴 사람의 사망 위험은 16∼29% 낮았다. 설탕을 넣은 가당 커피를 즐긴 사람의 사망 위험도 9∼31%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워싱턴 포스트는 기사에서는 "수년에 걸친 연구 결과 커피 섭취가 제2형(성인형) 당뇨병ㆍ파킨슨병ㆍ우울증 등의 위험 감소 등 다양한 건강상의 이점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며 "커피 원두에 풍부한 항산화 성분이 우리 몸의 염증과 세포 손상을 줄이고 질병으로부터 보호한다"고 설명했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