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형외과

얼굴 부딪힌 후… 통증 없어도 검사해야 하는 이유

전종보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얼굴에 강한 충격을 받은 후 통증이 없어도 ‘안와골절’을 대비해 정확한 검사를 받아볼 필요가 있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팔, 다리 등에 골절상을 입게 되면 극심한 통증이 뒤따르기 마련이다. 그러나 흔히 알고 있는 것과 달리 별다른 통증이 없는 경우도 있다. ‘안와골절’이 대표적이다.

안와골은 안구를 둘러싼 뼈로, 충격으로부터 안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안와골 가장자리인 상벽·외벽은 뼈가 단단해 골절되기 어렵지만, 비교적 얇은 하벽·내벽은 약한 충격에도 안구 쪽 압력이 증가하거나 뼈가 구부러지면서 부러질 수 있다. 벽에 부딪히거나 날아오는 물체에 맞는 등 작은 충격에 골절되기도 하며, 특히 아이들의 경우 또래 아이들과 장난을 치는 과정에서 부상을 입을 수도 있다.

안와골절은 충격이 가해진 당시 외에는 대부분 큰 통증을 느끼지 못한다. 구토를 하거나 코피가 나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하지만 특별한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눈 주위에 부상을 입은 뒤에는 별다른 증상이 없더라도 병원을 방문해 정확한 검사를 받아보는 게 좋다. 골절 정도가 심하지 않고 기능에 문제가 없을 경우 치료 없이 경과만 지켜보며, 필요에 따라서는 부종을 가라앉히기 위해 얼음찜질을 하거나 항생제·스테로이드를 처방할 수도 있다. 부상 과정에서 발생한 눈 주위 멍은 시간이 지나면서 사라진다.

안와가 골절된 후 사물이 겹쳐 보이거나 눈을 움직이기 어렵다면 부러진 뼈가 눈 주변 근육에 끼었을 수 있다. 특히 소아 환자에게서 이 같은 증상이 잘 나타난다. ​이 경우 수술 치료를 고려하기도 한다. 이외에 골절 부위가 안구 주변 조직에 밀려들어가 안구 함몰 위험이 높은 경우에도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눈꺼풀과 눈 주변 조직 부종이 심한 상태라면 붓기가 빠진 후 수술해야 한다.

한편, 안와골절을 입은 후에는 코를 강하게 풀지 말아야 한다. 눈 주위 뼈는 코와 연결돼, 코를 푸는 과정에서 골절 부위를 통해 공기가 안와 안으로 들어올 수 있기 때문이다. 공기가 안와 내로 유입될 경우 눈이 부풀어 오르기도 한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