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과

쇼크로 사망까지… '아나필락시스' 예방법 알아두세요

전혜영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원인 물질을 정확히 파악해 회피하면 아나필락시스를 예방할 수 있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최근 코로나19 예방 접종과 함께 '아나필락시스' 등 이상 반응에 대한 걱정이 많다. 접종 후 흔히 나타나는 부작용은 대부분 3일 이내에 사라지지만, 드물게 심각한 호흡곤란, 의식상실로 이어지는 아나필락시스성 쇼크로 이어질 수 있다. 접종 부작용 이외의 아나필락시스는 대부분 약물복용으로 인해 발생하는데, 미리 알레르기 검사를 통해 원인 물질을 알아두면 예방할 수 있다.

아나필락시스(anaphylaxis)는 일반적으로 음식, 약물, 벌에 쏘일 경우 해당 원인 물질에 대한 항체의 면역반응으로 인해 두드러기, 입술이나 눈덩이가 붓는 혈관부종, 복통, 호흡곤란, 기침, 어지러움, 혈압 감소 등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심하면 쇼크로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다. 미국의 코로나19 접종 사례를 보면 화이자는 인구 100만 명당 19.7건, 아스트라제네카는 10건 정도의 아나필락시스 사례가 보고된다. 이들은 대부분 과거 알레르기 반응 병력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과거 중증의 음식물, 약물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력이 있었다면 백신을 맞을 때 주의가 필요하다. 이런 사람의 경우, 접종 직후에 일반적인 백신 접종 후 관찰 시간보다 길게 관찰하는 것이 좋다. 가려움, 두드러기 등의 초기 반응이 나타나는지 잘 관찰하며 증상이 발생했을 때는 즉각적인 대처를 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 중앙대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정재우 교수는 "심한 알레르기 반응을 겪어본 사람이라면 새로운 약제를 투여할 때 항상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본인이 어떤 성분에 알레르기 반응을 나타내는지 정확히 알고 싶다면 병원을 찾아 약물피부반응검사 및 약물유발검사 등의 검사를 해야 한다. 이를 통해 확인된 원인 물질을 최대한 회피하거나 약물을 주의해서 사용하면 아나필락시스를 예방할 수 있다. 정재우 교수는 "과거 아나필락시스 경험이 있다면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났을 때 즉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며 "절대적 회피가 불가능하다면 자가 주사용 '에피네프린'을 처방받아 항상 소지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말했다.

다만, 가벼운 음식에 대한 알레르기나 약물 알레르기가 있다고 해서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무조건 피할 필요는 없다. 정재우 교수는 "화이자, 모더나,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장세척용 의약품이나 화장품 등에 쓰이는 성분인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소르베이트'가 들어 있다"며 "이들 성분에 과민 반응 이력이 있거나, 아나필락시스를 겪은 경험이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의사와의 상담을 거쳐 백신을 접종해도 괜찮다"고 말했다.




占싼딅뮞鈺곌퀣苑� 占쎌뮆�э옙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