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청소년과

[아이 건강] 키 크라고 다리 쭉~ 늘려주는 게 탈구의 원인?

전혜영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육아용품을 선택할 때도 바른 자세에 지장을 주지 않는지 점검이 필요하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아이의 성장을 위해 누워 있는 아이의 다리를 잡고 쭉쭉 잡아당기거나 늘려주는 행동을 일명 '쭉쭉이'라 부른다. 그러나 쭉쭉이는 고관절 탈구의 원인이 될 수 있어 삼가는 게 좋다. 아이의 성장을 위해서는 다리를 자연스럽게 주물러주는 것으로 충분하다. 고관절 탈구는 조기 발견이 중요해 평소 아이를 유심히 관찰해야 한다.

고관절 탈구란 골반과 허벅지뼈가 연결되는 관절인 고관절이 빠진 상태를 말한다. 생후 몇 달간은 고관절 근처 뼈들이 엉성하게 놓여 있다. 허벅지뼈가 엉덩이뼈 안에 제대로 자리 잡지 못하거나, 간혹 연결 부분이 미흡해 허벅지 뼈가 밖으로 빠지기도 한다. 선천적으로 탈구가 생기기 쉬운 구조를 갖고 태어난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불편한 옷이나 아기띠로 인해 다리를 자유롭게 움직이지 못해 생긴다.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오리걸음을 걷거나, 심하면 다리를 절 위험도 있다.

고관절 탈구는 조기에 발견할수록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하다. 생후 6개월 이전에 증상이 보인다면 기저귀나 보조기 착용만으로 교정할 수 있다. 만약 ▲아이의 한쪽 다리가 다른 쪽 다리보다 짧은 것 같을 때 ▲기저귀를 갈면서 다리를 굽히거나 엉덩이를 건드렸을 때 '툭'하고 뼈가 빠지는 소리가 날 때 ▲한쪽 허벅지나 엉덩이의 피부 주름이 더 많을 때 ▲기저귀를 갈거나 무릎을 세운 상태에서 한쪽 허벅지가 다른 쪽 허벅지만큼 벌어지지 않을 때는 소아정형외과 진료를 받아보자. 특히 아이가 출산할 때 머리부터 나온 '역아'라면 고관절 탈구에 취약하므로 유심히 관찰할 것을 권한다.

고관절 탈구를 예방하려면 아이가 다리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아이 다리를 쭉 뻗어 똑바로 붙인 채 포대기로 싸매면 엉덩이에 문제가 생기기 쉽다. 평소에도 아이가 편안하게 누운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누워 있을 때 아이에게 가장 안정적인 자세는 무릎을 90도로 굽히고, 양쪽 옆으로 45도 벌려진 상태다. 기저귀 갈 때의 자세를 생각하면 된다. 카시트, 아기띠 등 장시간 사용하는 육아용품을 선택할 때도 바른 자세에 지장을 주지 않는지 점검이 필요하다.

참고서적=《출동! 우리아기 홈닥터》 (세브란스 어린이병원 지음)​




�ъ뒪議곗꽑 �쒕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