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관절질환

'삐끗'한 뒤 방치?… 발목관절염 80% 외상 때문

박의현 연세건우병원 병원장

Dr. 박의현의 발 이야기 (30)

이미지

박의현 연세건우병원 병원장
관절염이라고 하면 조건반사처럼 무릎이 떠오를 것이다. 통계적으로도 무릎관절염의 유병률이 가장 높다. 때문에 무릎관절염의 원인·증상 등의 정보가 모든 관절염에 통용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하지만 절대로 통용되선 안되는 질환도 있다. 바로 발목관절염이다. 만약 발목을 무릎관절염과 같이 여긴다면 조기 진단·치료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나중에 인공관절치환술까지 해야할 수 있다.

관절염이라는 점을 제외하면 두 질환은 전혀 다르다. 우선 발생원인 자체도 크게 다르다. 무릎관절염은 외부요인에 의한 이차성도 있지만 전체 환자의 약 80% 이상이 50대 이상 장년층일 만큼 나이가 들어 발생하는 퇴행성변화가 주 원인이다.


그러나 발목관절염은 전체 환자의 80%가 외상성으로, 과거 발목인대파열, 골절 등의 심화로 인한 것이다. 족부전문 SCI 학술지 및 학회보고에 따르면 관절염 발생의 촉매제가 되는 발목연골손상 환자의 주 연령은 20~30대로 무릎에 비해 약 20년 정도 빠르다. 또한 필자의 병원을 찾는 발목관절염 환자들 중 30~40대 환자는 흔한 편이다.



이미지

클립아트코리아
증상도 차이가 있다. 무릎관절염은 초기부터 통증이 심하고 앉았다 일어나거나 걸을 때 기능적으로 큰 불편을 겪는다. 그러나 발목은 침묵의 관절로 불릴만큼 관절염 중기 이전까지는 발목에 지속적인 통증은 있으나 기능에 따른 불편을 느낄 수 없다.

하지만 가장 큰 차이점은 환자 인식이다. 무릎관절염은 큰 질환으로 빨리 치료를 해야한다고 여긴다. 그러나 발목의 경우 관절염이 발생한다는 사실 조차 모르는 경우가 허다하다. 발목관절염은 조기 진단 시 내시경 줄기세포 연골 재생술과 관절염으로 틀어진 발목 정렬을 바로 잡는 SMO(과상부절골술) 교정술을 통해 치료에 큰 부담없이 빠른 회복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런 인식이 변하지 않는다면 최신 치료는 무용지물일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나이와 관계없이 발목에 다음과 같은 증상이 있다면 빠른 시일 내 족부전문 의사를 찾아야 한다. 첫째, 최근 특별히 다친적이 없음에도 발목에 지속적인 통증이나 부기가 있을 경우. 둘째, 걷는데는 큰 불편은 없으나 등산이나 운동을 하면 증세가 나타나는 경우. 셋째, 조금만 걸어도 발목에 통증이 있고 힘들 경우. 넷째, 통증이나 불편감 탓에 구두를 신지 못하는 경우다.

사람의 몸은 하나의 유기체로서 어느 한 부위가 고장이 나면 문제가 몸 전체로 퍼진다. 특히 발의 경우 인체가 지면을 딛고 서서하는 모든 행동의 시발점이자 뿌리인 만큼 관심과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