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치열을 예방하려면 우선 변비를 예방해야 한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날이 갈수록 추워지면서 항문 통증을 느끼는 사람이 늘고 있다. 기온이 떨어지면 혈관이 수축하게 돼 항문 주변 혈액순환에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치질 수술을 받는 환자 수는 겨울에 가장 많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2017년 주요 수술 통계에 따르면 겨울철 치질 수술 건수는 5만7000여 건으로 한 해 수술 건수(19만9000여 건)의 약 30%를 차지했다. 수술이 불가피할 정도로 증상이 악화된 환자가 겨울에 그 만큼 많다는 의미다. 항문질환은 누구나 한 번쯤 겪을 수 있지만, 무심코 넘겼다가 나중에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다.

출혈 반복되면 '빈혈'까지

항문에 생기는 질환들을 모두 일컬어 '치질'이라 한다. 대표적으로 치핵, 치루, 치열가 있다. 그 중 '치열'은 항문의 피부나 점막이 찢어지는 것이다. 크고 굳어있는 대변이 항문을 통과할 때 잘 발생한다. 이외에도 어떤 원인에 의해 항문이 좁아져 있을 때, 크론병과 같은 염증성 장질환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치열의 특징적인 증상은 통증과 출혈, 항문 불편감, 가려움이다. ​통증은 배변 시나 배변 직후에 항문이 찢어지는 느낌이나, 묵직하고 쑤시는 듯한 양상으로 나타난다. 배변 후에도 수 분 혹은 수 시간 동안 지속되기도 한다. ​하지만 찢어진 부위가 항문 안쪽인 경우 아무 통증이 없이 출혈만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출혈은 보통 선홍색으로 대부분 화장지나 대변에 소량 묻어나는 정도이지만, 변기가 빨갛게 물들 정도로 많은 양이 나올 수도 있다. 유성선병원 외과​ 최병민 전문의는 "출혈이 반복되고 그 양이 많을 경우엔 빈혈의 원인이 되기도 하며 이런 경우 적절한 치료가 꼭 필요하다.

심하지 않으면 연고로 완화

치열이 처음이고 초기인 경우에는 항문의 12시나 6시 방향에 찢어진 흔적만 보이게 된다. 하지만 치열 생성과 치유가 반복되는 경우에는 항문 주변이 단단해지거나, 치열의 찢어진 양 쪽으로 살이 늘어진 혹 또는 피부 꼬리처럼 변하기도 한다. 증상이 심하지 않은 경우 연화제로 변을 부드럽게 해 항문관 찢어짐을 예방할 수 있다. 국소마취제를 포함한 연고 사용으로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혈관확장제나 말초혈관순환개선제가 치료에 좋은 효과를 보인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만성치열의 경우에는 위와 같은 보존적 치료로는 잘 낫지 않고, 증상이 일시적으로 좋아진다 하더라도 곧 재발하게 된다. 따라서 ▲오래 증상이 있었고 치열의 형태가 만성화된 경우 ▲​증상 기간이 짧아도 견디기 어려울 정도의 심한 통증이 있는 경우 ▲​농양(고름)이나 치루가 형성된 경우에는 수술이 필요할 수 있어 미루지 말고 반드시 항문질환 전문의와 상담해야 한다. 수술은 일반적으로 내괄약근 일부를 절제하는 식으로 진행된다. 수술 시간은 30분 이내로 짧고 비교적 간단한 편이다. 수술 후 하루 정도 입원 기간이 필요하며 이후에는 즉시 일상생활이 가능하다.

변비 예방이 우선

치열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우선 변비를 예방해야 한다. 야채나 과일 등 섬유질과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고 규칙적인 배변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다. 또한 온수 좌욕을 통해 항문관의 긴장을 풀어주는 것도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