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
대웅제약, P-CAB계열 신약 3상 완료…위산 억제 효과
이주연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19/11/27 10:25
대웅제약은 자체 개발한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펙수프라잔’의 임상시험 3상을 완료했다고 27일 밝혔다.
이 약은 위벽에서 위산을 분비하는 양성자 펌프를 가역적으로 차단하는 기전의 ‘칼륨 경쟁적 위산분비 차단제(P-CAB, Potassium-Competitive Acid Blocker)’ 계열이다. 이는 현재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에 널리 처방되고 있는 ‘양성자 펌프 억제제(PPI, proton pump inhibitors)’ 계열의 단점을 개선한 차세대 약물로 주목받고 있다.
PPI계열은 장기간 복용했을 때 칼슘 흡수를 저해해 골다공증 등 부작용이 있었다. 약물 상호작용을 고려해 식사를 주의해야 했다. 또 약효가 느리게 나타나고 지속 시간이 짧았다. 반면 P-CAB계열은 아무 때나 먹어도 되고, 효과가 빠르며 오래 지속되는 장점이 있다.
펙수프라잔은 지난해 10월부터 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 환자 260명을 대상으로 국내 25개 병원에서 대규모 3상 임상시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8주까지 내시경상 점막 결손에서 99%의 치료율을 나타냈다. 환자가 약을 복용할 때 불편함이나 부작용이 적은 양호한 내약성 또한 확인됐다. 특히 투여 초기부터 주야간에 상관없이 즉시 가슴쓰림 증상 개선을 보였다. 역류성 식도염의 비전형적 증상 중 하나인 기침 증상도 개선했다.
대웅제약 전승호 사장은 “앞으로 펙수프라잔을 최우수(Best-in-Class) 위식도역류질환치료제로 개발하기 위해 후속 적응증과 차별화 데이터를 확보하는 등 추가적인 연구개발에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라며 “국내뿐 아니라 중국, 미국 등 글로벌 시장에서 성과를 내기 위해 활발한 해외 파트너십을 적극적으로 모색 중”이라고 말했다.
한편, 국내 소화성궤양 치료제 시장은 지난해 8000억원을 돌파했고, 매년 그 시장이 5% 이상 성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