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비인후과

茶·수돗물로 코 세척? 생수도 안 돼

김수진 헬스조선 기자

올바른 코 세척법

4월은 알레르기비염이나 환절기 감기 환자가 많은 달이다. 비염이나 감기로 생기는 코막힘 증상을 손쉽게 완화할 수 있는 방법이 코 세척이다. 집에서 쉽게 할 수 있으며, 콧속의 미세 먼지 등을 씻어내기에도 좋다. 그런데 올바른 코 세척 방법을 모르고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온라인에서 코 세척을 권하는 사람들의 주장도 분분하다. 세척액에 대해 생수, 수돗물, 소금물, 약국에서 판매하는 코 세척제는 물론 심지어 오줌이나 차(茶)가 좋다는 주장도 있다.




이미지

그래픽=최혜인
삼성서울병원 이비인후과 동헌종 교수는 "코 세척법에 대한 의견이 많은데, 전문가들이 권하는 방법은 정확히 정해져 있다"고 말했다. 먼저 세척액은 생리식염수를 사용한다. 동헌종 교수는 "생리식염수는 나트륨 농도가 우리 몸 체액과 동일하게 0.9%로 맞춰져 있다"며 "나트륨 농도가 낮은 수돗물이나 생수를 사용하면 삼투압 현상으로 코 내부 조직이 부을 수 있고, 마구잡이로 소금을 탄 물을 사용하면 오히려 체내 수분이 빠져나가 조직이 수축될 수 있다"고 말했다.

생리식염수는 약국에서 구입할 수 있고, 집에서 만들 수도 있다. 만들 때는 무작정 소금을 넣으면 안 된다. 끓인 수돗물이나 생수 1ℓ에 소금 9g을 넣어야 체액과 동일하게 농도를 맞출 수 있다. 콘택트렌즈용 생리식염수 사용은 피한다. 방부제가 들어 있어서다. 한 번 사용한 생리식염수는 24시간 내에만 사용한다. 세균이 번식할 수 있다.

동헌종 교수는 "오줌이나 차가 효과있다는 주장은 과학적 근거가 없다"고 말했다.

세척할 때는 주사기(20~100㏄, 바늘이 없고, 코 세척용 튜브가 있는 것)나 코 세척 기구를 준비한다. 고개를 45도 정도 앞으로 숙이고, 생리식염수를 넣는 쪽 코가 위로 가도록 고개를 돌리면 생리식염수가 더 잘 들어간다. 주사기 끝이나 기구 끝을 코에 대고, 생리식염수를 천천히 주입한다. 이때 입으로만 숨을 쉬거나 잠시 숨을 참는다. 침을 삼켜도 안 된다. 침을 삼키면 이관(耳管)이 열리면서 세척액이 귀 안쪽으로 들어갈 수 있다.


세척은 양쪽 콧구멍을 번갈아가며 한다. 들어간 식염수가 다른 쪽 콧구멍으로 나와야 제대로 코 세척이 된 것이다. 특별한 질환이 없으면 하루 1회 정도 한다. 코 세척 직후에는 코를 세게 풀면 안 된다. 통증이나 중이염을 유발할 수 있다.





�ъ뒪議곗꽑 �쒕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