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청소년과

우리 아이, 감기인 줄 알았는데 중이염까지

김수진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누워서 수유하기보다, 아이의 상체를 약간 들어준 상태가 중이염 예방에 도움된다. /헬스조선DB

일교차가 큰 환절기에는 면역력이 떨어져, 감기로 고생하는 사람이 많다. 그런데 면역 체계가 성인만큼 안정되지 않았고, 귀 구조가 발달하지 않은 영유아는 감기에 걸렸을 때 중이염도 함께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

중이염은 세균성 감염질환으로, 귀 안쪽 고막에서 달팽이관까지 이르는 중이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원인은 다양한데,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에 의한 감염. 코와 귀를 연결하는 이관의 기능장애가 가장 큰 원인이다.

돌 이전의 영유아는 귀 구조상 이관이 짧고 직선으로 되어 있어 성인에 비해 급성 중이염에 더 취약하다. 콧물을 넘기다 귀로 감염균이 넘어가기 쉽고, 균이 중이까지 곧잘 도달해서다. 감기에 걸리면 이관을 덮고 있는 점막에 염증이 생기고 부으면서 귀 안의 압력이 낮아지게 된다. 이때 코 등으로 균이 쉽게 침입하면서 중이염이 생기기도 한다.

중이염의 대표 증상은 귀 통증이다. 감기에 걸린 영유아가 기침을 할 뿐 아니라 고열이 있고, 귀를 잡아당기거나 자꾸 만진다면 중이염을 의심해야 한다. 불편함으로 밤에 잠을 잘 자지 않거나, 평소보다 심하게 울고 보채며, 구토를 하기도 한다.

동탄시티병원 소아청소년과 김백남 원장은 “영유아 중이염은 흔한 귓병인데 대부분 감기의 후유증으로 나타나고 환절기에는 면역력이 약해서 더 쉽게 발병할 수 있다”며 “급성 중이염이 진행하면 만성이 되고 증상도 심해지므로 적절한 치료를 통해 진행을 막아야 한다"고 말했다.

돌 이전에 중이염에 걸리면 성장하면서 중이염이 재발할 가능성이 커, 이후에도 잘 지켜봐야 한다. 중이염에 걸렸을 때 제대로 치료하지 않으면 만성 중이염이 되면서 청력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예방 및 증상 완화에는 청결이 중요하다. 평소 집안 위생에 신경쓰고, 환기를 자주 시켜야 한다. 폐렴구균 예방접종은 급성 중이염 예방에 효과가 있다. 또한, 수유할 때 아이의 상체나 머리 쪽을 약간 들어준 상태로 유지해야 좋다. ​누워서 수유하면 아이가 중이염에 더 쉽게 걸리고, 빨리 낫지 않는 경향이 있다.





占싼딅뮞鈺곌퀣苑� 占쎌뮆�э옙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