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ADHD 약을 정상적인 아이가 먹으면 두통·환각 등 심각한 부작용을 겪을 수 있다./사진=헬스조선DB

수능 시즌을 맞아 자녀의 학습에 관심을 갖는 부모가 많다. 그런데 일부 학부모나 학생 사이에서는 ADHD(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치료제가 '공부 잘하는 약'으로 잘못 알려져, 오남용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ADHD 치료제는 공부를 잘 하게 해주는 약이 아니며, 오히려 오남용하면 두통이나 불안 같은 심각한 부작용이 생길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ADHD는 행동을 스스로 조절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질환으로, 주의력 부족·과잉행동·충동적 행동 등이 나타나는 게 특징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16년 20세 이하 ADHD 환자는 4만9623명으로, 2003년 1만8967명 대비 2.6배로 증가했다. 남성이 여성보다 약 3배 정도 많으며,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영구적인 집중력 장애 등으로 학업 부진이나 사회성 형성 부진이 나타날 수 있다. 도파민 등 뇌 신경전달 물질에 이상이 생기면 ADHD가 나타난다. 유전적 요인이 주된 유발 인자로 꼽힌다. 최근에는 환경 호르몬과 미세먼지 노출도 ADHD 발병에 작용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보고되고 있다.

ADHD는 약물치료를 중심으로 인지행동치료를 병행해 증상을 완화한다. 국내에서 사용되는 ADHD 치료제는 '클로니딘염산염', '메틸페니데이트염산염', '아토목세틴염산염' 등 3개 성분으로 이루어진 60개 제품이 있다. 이는 뇌 신경전달 물질의 양을 증가시켜 증상을 개선하는 목적으로 쓰이는데, 아이의 성장·행동 변화 등을 고려해 의사와 상담 후 복용량과 복용 시간 등을 조절해야 한다.

시험을 앞둔 아이가 성적을 올리기 위한 목적으로 ADHD 치료제를 복용하는 것은 금물이다. 이 약물을 ADHD 환자가 아닌 정상적인 아이가 먹으면 건강에 치명적인 문제가 생길 수 있다.대표적으로 두통·불안감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심각한 경우 환각·망상 등의 정신과적 증상뿐 아니라 자살 충동까지 들 수 있다. 한편, ADHD 환자도 약물 복용 시 신경과민·불면증·식욕 감퇴·두통·어지러움 등 부작용을 흔히 겪을 수 있다. 혈압이 오르거나 숨이 차고 시야가 흐려지는 증상이 나타난다면, 반드시 의사와 상담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