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탑 중환자실 입원 "약물 과다복용 추정"… 신경안정제 부작용은?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 장서인 헬스조선 인턴기자

이미지

대마초 흡연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가수 탑이 약물 과다복용으로 중환자실에 입원했다/사진=조선일보 DB

대마초 흡연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가수 탑(최승현)이 지난 6일 중환자실에 입원했다. 약물 과다복용으로 추정되며, 생명이 위독한 상태는 아닌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에 따르면, 탑은 이날 오전 서울 양천구 신월동 서울지방경찰청 4기동단 부대 안에서 잠을 자다가 정오쯤 서울 이대목동병원으로 옮겨졌다. 경찰 관계자는 “탑은 전날 밤 10시쯤 평소 복용하던 신경안정제 계통의 처방약을 먹고 잠들었다”며 “이날 오전 7시 30분쯤 깨우자 잠깐 눈을 떴다가 다시 자려고 해 피곤할 것으로 생각하고 그대로 뒀다”고 말했다. 이어 “정오쯤 땀을 흘리며 잠에서 깨지 못해 인근 병원 응급실로 옮겼고, 혈액, 소변, CT 검사 등을 진행했다”고 말했다. 병원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탑은 부축을 받아 나갔으며, 의식을 잃을 정도는 아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탑 소속사 YG엔터테인먼트는 “탑은 현재 중환자실에 입원해 치료를 받고 있고, 증상의 원인은 평소 먹던 약의 과다복용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신경안정제 계통의 약은 불안감과 초조함, 우울감을 느낄 때 복용하는 약이다. 불안감을 조절하는 신경전달물질인 ‘가바’의 작용을 조절하는 약으로, 신경안정제만 먹어도 즉시 마음이 편해지는 효과를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약의 효과는 일시적이어서 복용을 중단하면 불안감 증상이 쉽게 재발한다. 결국 신경안정제를 장기 복용하면 불안감이 더 심해지고 우울증이 악화되는 것이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우울증은 ‘가바’가 아닌 ‘세로토닌’ 물질 작용에 관여하는 약을 써서 치료해야 하며, 신경안정제는 처방 시 요구받은 적당량을 일시적으로만 먹어야 안전하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