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약물 부작용, 미리 알고 먹으면 두렵지 않아요
엄준철 헬스조선 약사자문위원(편한약국 약사)
입력 2017/03/14 05:00
약사통신
②감기약: 콧물, 비염 증상을 억제하는 약은 졸음을 유발하고, 안구건조, 구강건조, 변비 등 소위 '마르는' 부작용이 있다. 코막힘 약, 기관지확장제는 심장을 뛰게 하고, 불면증·손 떨림·소화불량을 야기한다. 이런 부작용이 있으면 약을 바꿔야 한다. 일부 기관지확장제는 커피로 인해 부작용이 증가되기도 한다.
③항생제: 설사, 피부발진, 위장 불편을 야기한다. 유산균을 먹으면 부작용 개선에 도움이 되고, 피부발진이 심하면 약을 바꾸면 된다.
④위장약: 변비가 생길 수 있고 비타민, 미네랄 흡수 기능이 떨어진다. 변비가 생기면 약을 바꾸고 비타민제를 복용하면 도움이 된다.
⑤혈압약: 안지오텐신 차단제는 입술 부종, 칼륨 과다, 어지러움의 원인이 된다. 이뇨제는 칼륨 부족, 광 과민반응, 어지러움을 야기할 수 있으며, 간혹 성기능을 감소시킨다. 칼슘채널차단제는 발목 부종, 어지러움, 두통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부작용이 있으면 의사와 상의해서 다른 약으로 바꾸면 된다.
⑥당뇨약: 메트포르민 성분의 약은 위장 불편이 있을 수 있다. 신장이 안 좋은 사람은 유산증 부작용이 증가한다. 글리메피리드 성분 약은 저혈당, 위장 불편이 있을 수 있고 DPP4 억제제는 피부발진, 위장 불편, 손발 부종 가능성이 있다. SGLT2 억제제 먹을 때는 소변 증가(탈수 가능성), 전해질 불균형, 저혈압, 비뇨기계 감염에 조심해야 한다.
⑦골다공증약: 위장을 자극하고, 칼슘을 감소시킨다. 대퇴부 골절, 턱뼈 괴사에 주의해야 한다. 하지만 이 같은 부작용은 5년 이상 약을 복용해야 나타날 수 있으니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⑧수면제: 처방전 없이 살 수 있는 일반약은 항콜린 부작용(변비, 소변 불편, 구강 건조)이 생길 수 있다. 처방약은 어지럼증, 기억력 감소, 수면 중 이상 행동이 나타날 수 있다. 수면제 장기 복용 시 부작용이 증가하니 자주 먹지 않는 게 좋다.
⑨빈혈약: 변비, 구역질, 구토가 있을 수 있고 검은 변이 나올 수 있다. 철분제를 바꾸면 부작용이 줄어들기도 한다.
약물 부작용이 걱정된다고 마음대로 약을 끊으면 안된다. 부작용이 나타나더라도 아주 미세하거나 소수에게 해당될 뿐 대다수는 부작용이 없다. 약을 바꾸면 해결되기도 한다. 부작용을 느낄 때 의사·약사와 반드시 상담해야 하는 것은 그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