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진통제, 2년 연속 부작용 1위… '이런 사람'은 복용 주의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숙취 두통'에 진통제 복용 위험

이미지

진통제는 처방전이 필요없는 비교적 안전한 약이라는 생각에 오남용 하는 사람이 많다. 식품의약품안전처 발표에 따르면, 진통제는 2015~2016년 연속 부작용 많은 약 1위에 꼽혔다./사진=헬스조선 DB

진통제(해열진통소염제)가 2년 연속(2015~2016년) 국내에서 부작용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약으로 꼽혔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지난해(2016년) 발생한 국내 의약품 부작용 건수 22만8939건 중 진통제가 3만1104건(13.6%)으로 가장 많았다. 항악성종양제(2만1348건·9.3%), 항생제(1만8441건·8.1%), X선 조영제(1만8240건·8%), 합성마약(1만7755건·7.8%)이 그 뒤를 이었다. 2015년에도 진통제 부작용이 13.9%(2만7538건)로 가장 많았다.

◇'안전한 약'이라는 인식, 오남용 빈번
진통제는 처방전 없이도 약국이나 편의점에서 쉽게 구할 수 있어 안전한 약이라는 인식이 강하다. 때문에 뚜렷한 증상이 없이 약간의 통증만 생겨도 쉽게 복용, 과도한 양을 섭취할 위험도 있다. 미국독극물통제센터협회에 따르면, 2011년 약물 과다 복용 환자 123만명 중 30.8%가 진통제 과다복용이 원인이었다. 약물 과다 복용으로 사망한 사람의 11.2% 역시 진통제 성분인 아세트아미노펜이 원인으로 작용했다. 아세트아미노펜은 타이레놀의 주성분이다.





이미지

헬스조선 DB

◇위(胃)·간(肝) 약한 사람 복용 주의
진통제는 종류에 따라 부작용도 달라 자신의 몸 컨디션에 맞게 구별해 복용해야 한다. 진통제는 크게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으로 된 '해열진통제'와 이부프로펜·아스피린 등의 비스테로이드 성분으로 된 '소염진통제'로 나뉜다. 해열진통제는 통증 완화·해열 효과가 있고, 소염진통제는 이 두 가지 효과 외에 염증을 없애는 작용까지 한다. 그런데 해열진통제는 주로 간에서 분해돼 간 질환이 있는 사람은 피하는 게 안전하다. 특히 숙취로 인한 두통이 생겼을 때 무심코 해열진통제를 복용해서는 안 된다. 알코올은 간에서 나오는 특정 효소(CYP 2E1)에 의해 체내에서 분해된다. 그런데 알코올을 자주 섭취하는 사람은 이 효소가 과하게 생성되는 경향이 있다. 문제는 진통제 성분인 아세트아미노펜 역시 이 효소에 의해 대사가 되면서 독성물질인 NAPQI을 생성하고, 이 물질이 간세포를 파괴한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알코올을 지속적으로 섭취하는 사람은 보통 용량의 진통제를 복용해도 간독성이 나타날 수 있다.
소염진통제는 위장관을 손상시킬 수 있다. 소염진통제는 통증을 전달하는 효소의 활동을 막는데, 이 효소가 위점막을 보호하는 기능을 같이 해 위장관 보호 기능이 떨어지는 문제다. 두 달 이상 소염진통제를 먹은 환자 1200명 중 1명이 위출혈로 사망했다는 영국의 연구결과가 있다.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부작용 피해 구제
약을 먹고 피해를 입은 사람은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에 피해구제 신청을 하면 된다.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홈페이지에서 '부작용 피해구제급여 지급 신청서'를 다운받아 작성하고 진단서 등 부작용 피해 사실을 입증할 수 있는 자료와 함께 우편으로 보내거나 방문해 제출하면 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그 밖의 약 부작용을 발견하면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이나 전국 ’지역의약품안전센터‘에 전화, 서면, 인터넷 등으로 보고할 것을 당부하고 있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