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과

야생 진드기 걱정 없이 나들이 하려면?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봄철 야외활동 중에는 야생진드기에 물릴 위험이 커 예방수칙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사진=조선일보 DB

올해도 어김없이 국내에서 야생 진드기에 목숨을 잃는 사례가 발생했다. 진드기는 종류에 따라 몸 길이가 0.1mm 이하인 것부터 1cm가 넘는 것까지 크기도 다양하다. 특히 숙주에 달라붙으면 강력 본드로 붙인 것처럼 피부에 몸의 일부를 박고 오랫동안 피를 빤다. 이 과정에서 여러 가지 병원체를 전파한다. 특별한 치료법이나 예방백신이 없는 경우도 있어 더욱 위험한 다양한 진드기 매개질환에 대해 알아봤다.

작은소참진드기에 의해 발생하는 `중증 열성 혈소판감소증후군(SFTS)`

국내 전역에 서식하는 작은소참진드기는 5월에서 8월까지 집중적으로 활동한다. 일반적인 진드기와 달리 산과 들 등 야외에서 활동한다.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바이러스에 감염된 작은소참진드기에 물려 발생하는 SFTS의 치사율은 6~10% 내외다. 예방백신이나 항바이러스제가 없어 야외활동이 잦은 요즘 작은소참진드기에 물리지 않게 특히 조심해야 한다.

바이러스에 감염된 진드기에 물리면 1~2주의 잠복기 이후 감기 증상 비슷하게 열이 나거나 근육통을 앓는다. 이후 설사가 나거나 근육통이 심해지고, 심지어는 의식이 떨어지는 뇌 증상을 보이다가 상태가 급격하게 나빠지면서 사망한다. 분당차병원 감염내과 홍성관 교수는 "SFTS 증상은 독감이나 식중독 등 다른 원인에 의한 증상과 초기증상이 유사하여 쉽게 감별해내기 어렵다"며 "야외활동 후 열이나 구토, 설사의 증상을보이면 가까운 병의원을 찾아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삼림진드기에 의해 발생하는 진드기 매개 뇌염

진드기 매개 뇌염은 진드기의 활동이 활발해지는 4월~11월 사이에 농촌에서 자주 발생한다. 국내에서 발생된 바는 아직 없지만 유럽, 러시아, 중앙아시아 등 위험지역을 여행하는 사람들은 주의해야 한다. 진드기 매개 뇌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진드기에 물려 감염되며, 살균되지 않은 염소젖, 양젖, 우유로 인해 감염되기도 한다. 진드기 매개 뇌염 바이러스는 수혈, 장기이식, 모유수유를 통해 전파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보통 7일~14일 정도의 잠복기에는 대부분 증상이 없다. 발병 초기에는 발열, 권태감, 식욕부진, 근육통, 두통, 오심, 구토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후에는 발열, 두통이나 경부 강직, 기면, 혼돈, 감각장애, 마비 등 중추신경계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합병증으로 경련, 마비 등 다양한 신경학적 증상이 올 수 있다. 30~60%의 환자에서 장기적 혹은 영구적인 신경학적 증상이 남을 수 있고, 10~20%의 환자는 신경정신학적 합병증이 있을 수 있다. 이 병 또한 현재까지 특별한 치료법이나 치료약이 없다. 발생국가 여행 시 기피제를 사용하고, 방호복을 착용하여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진드기 매개 질병 예방 수칙>
-풀밭 위에 옷을 벗어 놓고 눕거나 잠을 자지 말 것
-사용한 돗자리는 세척해 햇볕에 말릴 것
-풀숲에 앉아서 용변을 보지 말 것
-밤 따기나 등산 등 야외활동 시 긴 소매와 양말 착용할 것
-작업 및 야외활동 후 즉시 샤워나 목욕할 것
-작업 및 야외활동 작업복, 속옷, 양말 등은 바로 세탁할 것





�ъ뒪議곗꽑 �쒕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