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송보송하던 피부에 끈적이는 땀이 맺히기 시작한다. 여름이 우리 곁으로 성큼 다가온 것이다. 푸릇한 생명력이 넘치는 여름은 반갑지만 땀은 마냥 반기기 어렵다. 땀이 너무 많이 나면 불쾌하고 찝찝하기 때문이다. 땀이 잘 안 나는 사람이 여름철 부러움의 대상이 되는 이유다. 하지만 땀은 노폐물 배출 과정의 일종이라는데, 많이 흘리면 좋지 않을까 싶기도 한다. 이쯤 되면 땀의 많고 적음이 건강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고민에 빠진다.




이미지
땀 흘리고 있는 여자의 뒷모습
분당서울대병원 내분비내과 임수 교수에 따르면 단편적으로 땀의 양만 가지고 건강을 걱정할 필요는 없다고 한다. 의학적 표현으로 ‘발한(發汗)’이라고 불리는 땀은, 온도 변화에 따라 신체 내 중심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바깥으로 배출되는 수분과 전해질 등 체액의 일부분이다. 사람마다 땀구멍의 개수, 땀샘의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배출되는 양이 제각각 다를 수밖에 없다.

비만인 사람이 땀을 더 많이 흘린다는 것을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정상 체중인 사람보다 체표면적이 커서 땀구멍이 많거나 땀샘의 크기가 커서 땀을 더 많이 흘리게 되는 것이다. 그러니 다른 사람에 비해 땀이 많이 나거나 적게 난다고 해서 염려하지 않아도 된다. 그럼에도 건강에 신경 쓰이는 당신을 위해 팁을 준비했다. 여름에 땀을 적게 흘리는 건 괜찮지만 너무 많이 흘리는 건 조심하는 게 좋다. 탈수현상이 일어나거나 피부 감염까지 초래될 수 있으니 말이다.

질병으로 인해 땀이 비정상적으로 분비되는 ‘2차성 발한’도 조심해야 한다. 갑상선기능항진증, 당뇨병 등을 앓는 사람이 땀을 너무 많이 흘린다면 ‘2차성 발한’일 수 있으니 병원에서 진단을 받아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