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외우기 힘든 잠금 패턴' 해놨다면 당신은…

조우상 헬스조선 인턴기자

'외우기 힘든 잠금 패턴'이란 제목의 사진이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화제다.

게시물 사진은 스마트폰의 ‘잠금’ 화면을 캡처한 것이다, 해당 스마트폰의 잠금 패턴은 너무 복잡해서 주인이 과연 이 잠금을 풀 수 있을지 의문이 든다. 이 게시물을 접한 누리꾼들은 “너무 복잡하다” “전화 한 번하기 엄청 힘들어 보이네” 등의 반응을 보였다.




이미지

사진출처: 온라인 커뮤니티

이 스마트폰의 주인은 과한 보안의식으로 강박장애 증세가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 강박장애는 불안감을 줄이기 위해 강박적인 행동을 취하는 질환이다. 이는 게시물의 스마트 폰 주인처럼 과한 보안의식으로 밀려드는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함인 경우가 많다.

창문 혹은 문이 닫혔는데도 계속 확인하는 것, 무슨 일이 일어날 것 같아 물건을 항상 반듯하게 놓는 일 등이 대표적인 증세다. 강박 장애는 이런 행동이 계속 반복되기 때문에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하기도 한다.

강박장애는 선천적, 환경적, 정신적 요인과 같은 복합적인 원인에 의해 발병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뇌의 신경 전달 물질의 불균형 역시 중요한 원인으로 지목된다. 또한 과한 스트레스도 유발 요인이 된다.

강박장애는 약물과 정신 치료를 병행하는 경우에 가장 효과가 좋다고 한다. 약물 치료 방법으로는 세로토닌 재흡수 차단제, 특정한 삼환계 항우울제가 치료에 이용된다. 약물 치료는 효과가 매우 크지만 약물을 중단하는 경우 재발 위험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가족이나 친구들이 환자의 용기를 북돋아 주고 공감해주며 함께 근본적인 불안 원인을 찾아 제거해가는 것이 가장 좋은 치료방법이다.




嶺뚮씭�섓옙占� �곌랬�� �좎럥�삼옙占�

�좎떬�낅츩�브퀗�h땻占� �좎럩裕놅옙��쇿뜝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