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비인후과

이 때 재채기·콧물 심하면, 감기 아닌 알레르기!

헬스조선 편집팀

재채기, 콧물, 코막힘이 있으면 코감기려니 생각해서 코감기약만 먹으며 알레르기비염 치료를 못 받는 사람이 적지 않다. 그러나 이런 증상은 알레르기비염의 대표적 증상이기도 하다.  알레르기비염은 호흡 중에 콧속으로 흡입된 특정한 이물질에 의해 코 점막에서 일어나는 일련의 면역반응으로 갑작스런 재채기를 연속적으로 하거나, 맑은 콧물이 흐르고, 가려움증으로 눈과 코를 문지르게 되고, 코막힘 증상 등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알레르기비염에 걸리면 눈이나 목안이 가렵고 눈물이 나거나 머리가 아프고 후각능력이 떨어지기도 한다. 이런 증상들은 아침에 심하게 나타나지만 학교 수업이나 직장 일을 하는 낮에는 비교적 가벼워진다. 그러나 알레르기비염의 증상이 가벼운 경우에는 감기 증상과 비슷하여 코감기로 혼동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감기는 알레르기비염에서는 볼 수 없는 발열 증상이 수반되는 경우가 많으며, 재채기를 하지만 횟수가 비교적 적고 하루 종일 지속된다. 또한 맑은 콧물보다는 끈끈한 분비물이 나오며, 시간이 지날수록 누런 콧물로 변하고, 대부분의 경우 1주일 이내에 회복되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재채기, 콧물이 한 달 이상 지속된다면 알레르기비염을 의심해 봐야 한다.

알레르기비염을 방치하면 코막힘이 주요 증상이 돼 늘 킁킁거리게 된다. 합병증으로 축농증(부비동염), 물혹, 중이염, 천식까지 유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코막힘 증상은 코점막이 부어 나타나는 증상으로, 코점막에서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나면 혈관이 팽창되고, 혈관벽 밖으로 혈액 성분이 빠져 나와 코 점막이 붓게 되어 코가 막히게 된다.

이 상태가 지속되면 코점막은 정상으로 돌아가기 힘들어진다. 또한 외부에서 들어오는 유해한 입자들에 대한 제거능력도 떨어져서 세균감염을 자주 일으키게 된다. 대신 점액을 만들어 내는 분비 조직의 활동이 증가돼 초기 맑은 콧물 대신 점액성의 끈적한 콧물이 다량 분비돼 코막힘 증상을 가중한다.

만성 알레르기비염 환자는 물같은 맑은 콧물, 발작적인 재채기 등의 전형적인 증상 대신 끈적하고 누런 코가 목 뒤로 넘어가고, 코가 심하게 막히고, 입에서 구취가 나는 등의 축농증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아이들의 경우 축농증이 위험이 높고, 심지어 치아까지 비뚤어질 수 가능성이 더 높은 만큼 무엇보다 조기 치료가 중요하다.

알레르기질환의 치료는 원인인 집먼지 진드기나 곰팡이, 꽃가루, 애완동물의 털과 비듬, 바퀴벌레 따위의 곤충 부스러기,  음식물, 음식물 첨가제 등을 피하는 것이 우선이다. 또, 약물요법, 면역요법 등의 치료가 있다. 이중 가장 중요한 치료법은 항원의 침입을 방지하는 것이다. 요즘과 같이 날이 쌀쌀해지면 환기를 자주 시키지 않는데, 그럴 경우 먼지와 곰팡이균이 점점 늘어나 건강을 위협하기 때문에 하루에 2~3회 10분 이상 모든 문을 활짝 열어 환기를 시키고, 실내 습도와 온도를 조절한다.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