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리 질 높인 신개념 보청기 나와
직접 보청기 조절해 적응 기간 필요 없어
멋스럽고 탈부착 쉬워서 거부감 제로

국내 난청 인구는 250만명에 달한다. 하지만 보청기를 끼면 불편하고, 값이 비싸다는 이유로 많은 난청인이 잘 안 들리는 불편함을 감수하고 지낸다. 보청기를 쓰는 인구는 40만명도 안 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보청기가 있어도 잘 쓰지 않는 사람도 적지 않다. 그러나 난청을 방치하면 우울증·치매 같은 다른 만성질환의 위험이 올라간다. 적극적으로 소리를 들으려는 노력이 필요한 것이다.




이미지
김성근이비인후과 난청클리닉 김성근 원장이 닥터보청기의 기능과 사용 방법을 난청 환자에게 설명하고 있다. /신지호 헬스조선 기자
"부드럽고 선명하게 소리 들리게 해"

최근 기존 보청기의 불편함을 대폭 개선한 신개념 보청기가 나왔다. 김성근이비인후과 난청클리닉 김성근 원장이 바이오사운드랩과 함께 개발한 '닥터보청기'가 그것이다. 김성근 원장이 병원 진료 과정에서 수렴한 난청인의 불편 사항을 개선, 기능성과 편리함을 더해 만들었다. 김성근 원장은 "닥터보청기는 작은 소리는 크게, 큰 소리는 작게 해서 청각을 보호하고 소리를 정확히 듣게 해준다"며 "아주 작은 소리는 매우 민감하게 표현하고 보통의 대화 목소리는 매끄럽게 들리게 하며 매우 큰 소리는 조금 낮게 조절한다"고 말했다. 김 원장은 "청력 상태와 무관하게 모든 소리를 크게 키웠던 기존 저가형 보청기와 달리 소리의 질을 크게 개선했다"며 "주변의 소음은 줄이고 말소리만 깨끗하게 잡아내는 기능도 있다"고 말했다.

닥터보청기는 번거로운 적응 과정도 필요 없다. 기존 보청기는 맞춤 제작과 전문가의 사후 조절이 필요해 3개월간 병원·보청기 판매처를 오가야 하지만, 닥터보청기는 이런 과정이 전혀 필요없다. 김성근 원장은 "부드럽게 들리게 하는 모드(Soft 모드)와 선명하게 들리게 하는 모드(Sharp 모드)로 나뉘고 볼륨도 총 6단계로 나뉘어져 사용자가 직접 조절하면 된다"고 말했다.

듣고 싶은 소리만 또렷히 듣게 해줘

보청기를 이미 쓰고 있는데도, TV를 보거나 전화 통화를 하거나 교회·절·성당의 설교를 듣는 특정 상황에서 오히려 불편함을 느끼는 난청인이 적지 않다. 이런 사람은 닥터보청기 같은 첨단 마이크 기능이 담긴 보청기를 하나 더 구입해 쓰면 편리하다. 김성근 원장은 "닥터보청기는 디지털 가전과 연결해 원음으로 TV나 영화, 음악을 감상할 수 있고 휴대폰과 연결해서 핸즈프리로 사용할 수도 있다"며 "리모컨 기능과 마이크 기능이 내장된 무선 기능 리모컨을 강단 앞에 놓으면 강연자의 소리를 바로 옆에서 듣는 것처럼 들을 수 있다"고 말했다.

닥터보청기는 디자인이 멋스럽고 탈부착도 쉽다. 김성근 원장은 "기존 귀 모양 디자인과 달리 핸즈프리 같은 디자인"이라며 "그래서 남녀노소 모두 거부감 없이 쓸 수 있는 데다 필요할 때 쉽게 낄 수 있다"고 말했다. 이 보청기는 무선 기능 리모콘까지 합쳐서 65만원이 안 돼 비싼 가격 탓에 보청기 구입을 못했던 난청인에게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