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 중 의사 손으로 굳은 관절 풀어야"
'인공관절 이식만으론 불충분' 주장도

이미지
신규철 제일정형외과병원장
무릎 퇴행성 관절염은 진행 정도에 따라 다른 치료법을 적용한다. 초기에는 약물치료와 줄기세포 치료, 좀 더 진행되면 내시경 시술로 치료하지만, 뼈의 관절면 전체에 변형이 오고 몸의 체형이 변하는 단계가 되면 인공관절 수술밖에 방법이 없다.

인공관절 수술은 관절치환술(Joint Replacement)이라고 부르기도 하고, 관절성형술(Joint arthroplasty)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둘 다 영어 명칭의 번역인데, 같은 무릎 인공관절 수술에 두 가지 파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관절치환술이라고 부르는 쪽은 망가진 관절 대신 기계적으로 깨끗한 인공관절을 삽입하면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정확한 위치에 정확하게 인공관절을 맞춰 넣으면 된다는 것이다. 반면, 관절성형술이라고 부르는 쪽은 관절 주위의 모든 연부 조직(관절막·인대·관절을 싸고 있는 근육 등)의 균형을 맞춰야 한다고 본다. 이를 위해서는 굳어진 환부를 수술하는 의사가 손으로 마사지하듯 세세히 풀어줘야 한다.

초기의 인공관절 수술은 고관절부터 시행됐다. 고관절은 관절이 비교적 단순하고 두꺼운 근육의 보호를 받고 있는 덕분에 수술 결과가 좋다. 무릎 관절은 근육량이 상대적으로 부족하고 고관절보다 다양한 운동을 하기 때문에 인공 관절이 고관절 부위보다 늦게 적용되기 시작했는데, 두 가지 견해를 둘러싼 의학적 논쟁은 이 때부터 시작됐다.

기계적 중요성을 강조하는 관절치환술 그룹은 로봇 수술과 네비게이션 수술 등을 이용해 몸의 각도와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수술하면 된다고 주장한다. 이와 반대로, 연부조직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그룹은 관절염이 심해서 변형되고 마모된 관절은 단단하게 굳어지고 뻣뻣해져 있기 때문에 망가진 관절만 바꾸면 성공적인 수술이 될 수 없고, 수술 중간 중간에 닳고 굳은 관절을 계속 구부리고 펴고 돌리기를 반복하면서 1㎜씩 늘려서 무릎의 균형을 맞춰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를 연부조직 균형술이라고 하는데, 이를 옹호하는 무릎 관절 전문의들은 이 방법을 쓰면 기존에 10년 정도 쓸 수 있던 인공 관절의 수명이 20년 이상으로 늘어난다고 주장한다.

두 그룹의 논쟁은 아직 현재진행형이며, 어느 한 쪽이 옳다고 100% 단정하기는 어렵다. 무릎 인공관절 수술을 받으려는 환자는 자신의 퇴행성 관절염 진행 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어떤 수술을 받을 지 결정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