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21-10-01

신경계질환

“오른쪽 어깨와 팔이 아파서 고생했는데, 알고 보니 목 디스크가 원인이었습니다” 이렇게 증상과 원인의 위치가 달라 애를 먹는 경우가 있다. 사실 척수는 정해진 구역이 있다. ‘척수의 구조와 기능’ 그리고 ‘척추 사이 관절’에 대해 알고 있다면, 팔다리가 아플 때 왜 디스크를 의심하는지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척수
‘척수(spinal cord)’는 뇌 아래쪽 부분에 연결되어 있으며 ‘감각과 운동의 통로’이자 반사중추(reflex center) 역할을 한다. 척수는 머리뼈 큰 구멍에서 1st 허리뼈 높이까지 관을 통해 내려가는 길이 약 42~45cm, 무게 약 30g, 직경 약 1cm의 백색 장기이다. 척수는 안쪽의 ‘H’자 회색질(gray matter)과 바깥쪽의 백색질(white matter)로 구성된다. 구조가 대단히 복잡하게 보이지만 앞쪽은 ‘수의운동’, 옆은 ‘자동운동’, 뒤쪽은 ‘감각’을 담당하게 된다. ‘뒤에서 간지럼 태우면 앞으로 튀어 나간다.’라고 생각하면 쉽다.
척수에서 나오는 ‘척수신경(spinal nerve)’은 31쌍의 말초신경으로 목신경 8쌍, 가슴신경 12쌍, 허리신경 5쌍, 엉치신경 5쌍, 꼬리신경 1쌍으로 구성되어 있다. 척수신경은 쌍의 형태로 거의 같은 구조이다. ‘운동 축삭’은 척수의 앞 뿔 또는 옆 뿔에서 시작되고, ‘감각 축삭’은 척수의 뒤쪽으로 시작한다. 척수신경은 마치 여러 가닥으로 된 전선 같아서, 한 가닥은 운동신경 섬유 혹은 감각신경 섬유가 된다.

척추 사이 관절
‘척추 사이 관절(intervertebral articulations)’은 척추뼈의 몸통과 위, 아래 관절돌기 사이에 존재한다. 척추뼈 몸통은 ‘척추 사이 원반(intervertebral disc)’이라는 섬유 연골 패드에 의해 분리된다. 척추 사이 원반은 섬유테(anulus fibrosus)와 속질핵(nucleus pulposus)으로 구성되어 있다. 섬유테는 콜라겐 성분을 포함하는 질긴 바깥층으로 많은 인대에 연결되어 있다. 속질핵은 그물 섬유와 탄력 섬유를 가진 원반 속 젤라틴이다. 이런 구조적 특성으로 척추의 움직임과 몸무게 압력을 모든 방향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하지만, 나이가 들거나 심한 외상을 받으면 속질핵의 물은 점차 사라지게 되고, 원반의 쿠션 역할이 줄면서 척수손상의 빈도가 증가하게 된다.
 
탈출 추간판(디스크)
‘탈출 추간판 (herniated nucleus pulposus, HNP, Disc)’은 척추의 일부 비틀림이나 굽히는 운동으로 척추 사이 원반이 손상, 탈출하는 것이다. 젤라틴 속질핵이 섬유테를 통과하거나 혹은 섬유테 쪽으로 튀어나올 때 발생한다. 척추관의 뒤 가쪽 팽창을 유도하여 척수나 척수신경을 조일 수 있다. 등뼈는 갈비뼈와 관절을 이루기 때문에 다른 뼈보다 안정적이지만, 목뼈와 허리뼈는 운동영역이 가장 크고, 증가 된 무게를 떠받들기 때문에 주로 이 부분에 많은 문제가 생기는 것이다.


증상은 ‘위치’나 ‘척수가 눌리는 정도’에 따라 다르다. 일반적인 목 디스크는 C5-6, C6-7 사이로 목과 팔의 통증 그리고 팔 근육의 쇠약도 발생할 수 있다. 흔한 허리 디스크는 L4-5 사이로 허리통증(lower back pain)과 다리 통증의 흔한 원인이다. 디스크가 허리 신경을 조이기 시작하면 통증이 다리 전체로 내려가는 것을 느낄 수 있고 이를 ‘엉덩뼈 신경통(sciatica)’이라 한다. 눌리는 척수의 위치에 따라 ‘운동과 감각의 이상’을 느끼는 다리 영역이 조금씩 차이가 있다.

이렇게 목과 허리 디스크의 ‘정해진 구역’을 생각하면, 외상없는 팔다리 통증이 생겼을 때 ‘디스크가 아닐까?’라는 의심을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 본 기사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의사에게 듣는 '질환' 이야기

[서울부민병원 응급의료센터]
박억숭 과장

현, 서울부민병원 응급의료기관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생리학교실 외래교수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흉부외과 전공의
분당서울대학교병원 흉부외과 폐, 식도 전임의
고신대학교 흉부외과 의학박사
국립부경대학교 경영학석사
테트라시그넘 이사
헬스온클라우드 대표이사

유튜브 “박억숭강의”

2014 “Samuel Dung Detective”, 좋은땅
2018 “해부학”, 수문사
2019 “생리학”, 수문사
2019 “병리학”, 수문사
2020 “약리학”, 수문사
2021 “해부생리학”, 수문사
2023 “병태생리학”, 수문사

2005 “친절한 의사상” 곽병원
2011 “이영균 학술상” 제14회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2018, 2019 “최우수 강의상” 동원과학기술대학교
2022 “부산시장 표창장”

병리학을 토대로 질병에 대한 이야기를 알기 쉽게 풀어서 설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