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24-05-10
심혈관계 약물
흉통으로 내원한 환자에게 ‘심근경색’이 진단됐다. 시술, 수술 후 함께 사용하는 약은 어떤 효과를 내는 걸까?
심근경색
심장에 산소를 공급하는 혈관(관상동맥)이 혈전이나 경련으로 막혀 심장 세포가 괴사하는 상태를 ‘심근경색(myocardial infarction)’이라 한다. 세 개의 관상동맥 중 막힌 개수, 정도에 따라 증상, 경과가 다양하고 치료 방법도 달라진다. 우선 간단한 심전도와 혈액검사(심근 효소 수치)를 시행한다. 보조적으로 심장초음파도 한다. 이런 검사들은 특별히 위험하거나 아프지 않다. 하지만, 심근경색이 의심되면 조금 더 침습적인 ‘심혈관조영술’이 꼭 필요하다. 이를 통해 확진, 치료할 수도 있다. 물론, 수술이나 시술 후 약물치료는 필수다.
심근경색 약물치료
심근경색증 치료에 사용하는 여러 약물이 있다. 우선, ‘혈전용해제’ 투여로 막힌 혈관을 뚫을 수 있다. 하지만, alteplase(tPA) 같은 혈전용해제는 2~6시간 이내의 빠른 처치가 필요하므로 현실적으로 잘 사용하지 않는다. 보통 정맥혈관 내의 혈전 제거에 사용하고, 카테터를 이용한 제거술과 함께 사용하기도 한다. 두 번째 ‘유기 질산염(organic nitrate)’은 심근경색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추가할 수 있다. 가슴 통증 초기에 혀 밑에 녹여 먹는 니트로글리세린(NTG)은 진단에도 도움 되고 일시적으로 혈관 경련을 완화할 수 있다. 복용 후 5~10분이 지나도 가슴 통증이 신속하게 사라지지 않으면 추가적인 검사와 시술이 필요하다. 세 번째 ‘β blocker, ACEIs(captopril, lisinopril)’ 같은 약물은 산소요구량을 줄여 추가적인 경색을 예방할 수 있고 특히, β blocker와 항부정맥제 사용은 부정맥을 조절, 예방할 수 있다. 네 번째는 ‘통증 관련 약물’이다. 모르핀, 펜타닐 같은 마약성 진통제로 강하게 통증을 관리한다. 이런 약은 흉통의 극심한 통증과 불안을 줄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항혈소판제와 항응고제’를 사용하여 혈전을 예방할 수 있다. 말 그대로 예방약이다. 임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항혈소판제는 아스피린과 플라빅스로 플라빅스는 항응고 효과도 동시에 가지고 있다. 대표적인 항응고제에는 헤파린과 쿠마린이 있다.
사실, 심전도에서 ST분절 상승이 없고 활력 징후가 안정적이라면 약물치료를 먼저 할 수도 있다. 하지만, 보통 심근경색이 의심되면 심혈관조영술을 시행한다. 진단과 처치(스텐트 삽입 등)를 동시에 진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시술, 수술과 함께 이런 약물을 사용하면, 심근경색과 관련된 사망률과 장애를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의사가 약리학을 알기 쉽게 풀어서 설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