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24-05-03

심혈관계약물

짧은 시간 심장 동맥혈 공급이 시원찮아 생기는 ‘협심증’. 이때 극심한 흉통이 발생하는데, 치료를 위해 어떤 약을 사용할까?

협심증 치료 목표
협심증의 약물치료 목표는 증상(흉통)의 ‘강도와 빈도를 줄이는 것’이다. 그리고 장기적으로 심부전, 부정맥 그리고 심근경색 등 심각한 결과를 예방하고 환자 수명을 늘리는 것이다. 협심증 치료에 사용하는 약물은 크게 네 가지 유형이 있다. 혈압, 정맥 환류량, 심장 박동수 및 수축력에 영향을 주어 심장의 산소공급과 요구량 균형을 유지한다. 

협심증 치료 약물
첫 번째 ‘유기 질산염(organic nitrate)’은 큰 정맥과 심장 동맥의 혈관 평활근을 이완시킨다. 심장 근육의 산소요구량을 신속하게 감소시켜 흉통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혀 밑에 녹여 먹는 니트로글리세린(NTG)이 바로 이 약이다. 두통이 흔히 나타날 수 있고 고용량에는 체위성 저혈압, 안면홍조 및 빠른 맥박도 나타날 수 있다. 

두 번째 ‘베타 블로커(β blocker)’는 선택적으로 아드레날린 β1 수용체를 차단, 심장 근육의 산소요구량을 감소시킨다. 심장 박동수, 수축력, 심박출량 그리고 혈압이 떨어진다. 대표적으로 아테놀롤(atenolol)은 심근경색 발병률을 감소시킬 수 있어 고혈압, 심장 동맥질환이 있는 환자에도 이상적이다. 하지만, 혈관, 경련성 협심증에서는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다.

세 번째 ‘칼슘 통로 차단제(CCBs)’는 심장 근육, 심장 동맥, 말초 혈관 평활근의 칼슘 이온 통로를 차단, 근육 수축을 막으면서 효과를 나타낸다. ‘~~dipine’ (amlodipine, nifedipine)은 주로 세동맥 평활근에 작용하여 혈관이 늘어나고 결국, 심장 근육의 산소소비량이 감소한다. 심장 동맥 확장 효과도 있어 혈관, 경련성 협심증에도 효과적인 약이다. 

마지막 ‘나트륨 통로 차단제’는 심장 근육 세포의 나트륨 이온 통로에서 나트륨 이온 유입 후반부를 차단하게 된다. 나트륨, 칼슘 교환체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하면서 세포 내 칼슘 이온이 줄어들고 결국, 심장 근육의 긴장과 산소 소비가 줄어들게 된다. 라놀라진(ranolazine)은 혈압과 맥박 변화 없이 대사 효과를 통해 반응하는 유일한 협심증 치료제이고 부정맥 치료에도 효과적이다. 

협심증 약을 간단히 설명할 수 있다. 심장 혈관이 늘어나면 산소공급이 증가한다. 수축이 줄어들면 산소요구량은 감소한다. 이 둘의 균형이 맞춰지면 결국, 증상(흉통)의 강도와 빈도는 서서히 줄어들게 된다.


* 본 기사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의사가 설명하는 약물 이야기

[서울부민병원 응급의료센터]
박억숭 과장

현, 서울부민병원 응급의료기관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생리학교실 외래교수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흉부외과 전공의
분당서울대학교병원 흉부외과 폐, 식도 전임의
고신대학교 흉부외과 의학박사
국립부경대학교 경영학석사
테트라시그넘 이사
헬스온클라우드 대표이사

유튜브 “박억숭강의”

2014 “Samuel Dung Detective”, 좋은땅
2018 “해부학”, 수문사
2019 “생리학”, 수문사
2019 “병리학”, 수문사
2020 “약리학”, 수문사
2021 “해부생리학”, 수문사
2023 “병태생리학”, 수문사

2005 “친절한 의사상” 곽병원
2011 “이영균 학술상” 제14회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2018, 2019 “최우수 강의상” 동원과학기술대학교
2022 “부산시장 표창장”

의사가 약리학을 알기 쉽게 풀어서 설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