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24-05-17

심혈관계 약물 

부분 마취제로 사용하는 리도카인이 의외로 부정맥 치료에도 사용된다. 이유가 뭘까? ‘심장의 자극 전달’을 알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근육, 신경 그리고 심장의 자극 전달
뼈대 근육과 신경의 전기 자극은 나트륨이온(Na⁺)의 세포 내부 유입(탈분극), 칼륨 이온(K⁺)의 세포 외부 유출(재분극)로 전달된다. 하지만, 심장 수축 세포는 이 둘 사이(나트륨 유입, 칼륨 유출)에 칼슘 이온(Ca²⁺)이 유입된다. 심장은 칼슘 이온 덕분에 규칙적으로 뛴다.


부정맥
‘부정맥(arrhythmia)’은 심장의 비정상 자동성 또는 전도의 결함으로 발생한다. 심장을 뛰게 하는 전선에 문제가 생긴 것이다. 부정맥은 가슴 통증, 답답함, 두근거림, 호흡곤란, 심지어 급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증상들이 나타난다. 심전도(EKG)를 비롯한 여러 가지 검사를 통해 어느 부위에 문제가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부정맥 치료제 
부정맥을 치료하는 약제들은 대부분 자극 전달과 관련된 나트륨이온, 칼륨 이온, 칼슘 이온의 흐름을 조절하는 약물이다. 심하면 자극 전달의 잘못된 길을 차단하는 전극 도자 절제술(catheter ablation), 인공심박동기(permanent pacemaker)를 삽입할 수 있다. 부정맥 치료제는 어느 이온 통로에 작용하느냐에 따라 Class I~IV로 분류한다. 

Class I은 ‘나트륨이온 통로 차단제’다. 대표적 약물이 바로 부분 마취제 리도카인이다. 리도카인은 심장 근육의 나트륨이온 통로를 차단, 부정맥 치료에 사용한다. 만약, 심장 이외 상처 부위라면, 주변 신경의 나트륨이온 통로에 결합, 통증 자극 전달을 방해한다. 환자는 한동안 감각을 느끼지 못하고 이 틈을 이용해 절개, 봉합하는 것이다. Class II는 보통 고혈압 치료에 사용하는 ‘β 차단제’로 부정맥 치료에도 효과적이다. 이 약물은 심장의 자극 전달 마지막 단계에 작용, 자동성은 억제되고 방실전도(AV 전도)가 늘어나 심장 박동수와 수축력이 감소한다. Class III는 ‘칼륨 이온 통로 차단제’로 심근의 활동전위 시간을 늘리고 자동성을 감소시켜 효과를 나타낸다. 마지막 Class IV는 ‘칼슘 이온 통로 차단제’이다. 심장 근육과 혈관 평활근의 칼슘 이온 통로를 차단, 약물이 떨어질 때까지 재분극을 막는다. 칼슘통로에 의존적인 조직에서 전도를 늦춰 심방부정맥에 더 효과적이다. 

부분 마취제 ‘리도카인’은 보통 봉합할 때 아프지 말라고 사용하는 유용한 약이다. 하지만, 작은 양이라도 혈관으로 흡수, 심장에 영향을 준다면 상황은 달라질 수 있다. 


* 본 기사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의사가 설명하는 약물 이야기

[서울부민병원 응급의료센터]
박억숭 과장

현, 서울부민병원 응급의료기관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생리학교실 외래교수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흉부외과 전공의
분당서울대학교병원 흉부외과 폐, 식도 전임의
고신대학교 흉부외과 의학박사
국립부경대학교 경영학석사
테트라시그넘 이사
헬스온클라우드 대표이사

유튜브 “박억숭강의”

2014 “Samuel Dung Detective”, 좋은땅
2018 “해부학”, 수문사
2019 “생리학”, 수문사
2019 “병리학”, 수문사
2020 “약리학”, 수문사
2021 “해부생리학”, 수문사
2023 “병태생리학”, 수문사

2005 “친절한 의사상” 곽병원
2011 “이영균 학술상” 제14회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2018, 2019 “최우수 강의상” 동원과학기술대학교
2022 “부산시장 표창장”

의사가 약리학을 알기 쉽게 풀어서 설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