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23-03-06

흔히 ‘신경주사’나 ‘뼈주사’라고도 알려진 신경차단술은 약물로 신경기능을 차단(block)시킨다는 것에서 이름이 붙여졌다. 추간판탈출이나 협착증 그 외 척추골절, 후관절 증후군등 대부분의 척추질환에서 신경차단술은 통증을 줄여줄 목적으로 시행된다. 

신경차단술은 통증의 양상과 질환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첫째, 내측지 차단술(Medial branch block)은 주로 요통을 호소하는 경우에 시행되는 신경차단술이다. 여러 신경갈래 중 하나인 내측지(medial branch)는 요통이나 경추통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고 바로 이 부위에 약물을 투여해 통증을 경감시킨다.

둘째, 경막외신경주사(epidural block)는 말 그대로 신경을 싸고 있는 막인 경막외강에 약물을 주입하는 방법이다. 보통 허리나 경추의 중앙이나 살짝 옆으로 접근하여 약물을 투입한다. 추간판 파열이나 섬유륜 파열 외 협착증과 같은 신경압박 등으로 인한 통증이 있을 때 시행되는 방법이다.

셋째, 선택적 신경절 차단술(Selective nerve root block)은 보통 상지 또는 하지의 방사통을 호소하는 경우에 시행되는 신경차단술이다. 약물을 더 국소적으로 원하는 신경에다가 정확히 주사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주사를 맞을 때 한쪽 팔이나 다리가 찌릿한 경험을 했다면 선택적 신경절 차단술을 시행받았을 확률이 높다. 

넷째, 꼬리뼈 주사(caudal block)는 경막외주사와 동일한 분류이나 가장 안전하고 빠르게 시행받을 수 있는 신경차단술이다. 


* 본 기사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여러분의 척추, 괜찮으신가요?

[연세오케이병원]
하지수 척추센터장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척추신경외과 임상강사
한림대학교 강동성심병원 신경외과 외래교수
한림대학교 강동성심병원 신경외과 석사
전) 서울바른병원 척추 양방향내시경 센터장
전) 서재곤링커병원 척추센터장
KOMISS/KOSESS (대한최소침습척추학회) 임원 학술간사
The World UBE society 임원 전산정보이사
정맥통증학회 임원 대외협력이사
KOMISS cadeveric workshop instructor (2019~2022)
EEN educational instructor (certified by SURGI BIO inc.)
L Disq / C Disq international teaching instructor (certified by U&I corp.)
대한 척추신경외과학회 평생회원
대한 경추연구회 정회원
대한 척추변형연구회 정회원
대한 신경손상학회 정회원
대한 최소침습척추학회(KOMISS) 평생회원

초고령화 시대, 스마트기기와 PC의 과도한 사용, 스포츠 활동 인구 증가 등 늘어나는 척추 통증 환자들에게 맞춰 양질의 정보를 공급할 수 있도록 척추 질환에 대해 다각도로 조명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