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22-12-12

나이가 들면 여드름이 안난다고 들었다던 A씨, 사춘기를 지내고 군대를 다녀왔지만 아직도 끊임없이 불쑥 불쑥 올라오는 여드름으로 골머리라며 호소했다. 여드름을 치료하기 위해 내원하는 많은 분들은 SNS에서 눈에 띄는 여러 트러블 제품 중에 본인에게 맞는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다.

코로나19 여파로 마스크착용이 장기화되면서 성인이 된 이후에도 여드름으로 고통 받는 사람이 예년에 비해 늘었다. 실제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여드름 환자는 2021년 10만9684명, 2020년에는 10만2890명, 2019년에는 9만5494명, 2018년에는 9만6043명으로 보고된 바 있다. 코로나19 시작 전인 2018년도에 비해 지난해까지 꾸준히 증가된 상태이다.

여드름은 어떻게 관리하고 예방하는 것이 좋을까? 화장품만 제대로 사용해도 여드름 고민을 어느 정도 덜어낼 수 있다.

여드름 관련 화장품 시장에서는 다양한 트러블 제품으로 여드름용 화장품을 마케팅하고 있다. 대표적으로는 oil control, oily skin으로 지성피부용을 강조하는 제품, acne prone skin, out of trouble, acne-pimple free 등을 마케팅 용어로 사용하기도 한다. 여드름 관련 화장품은 여드름의 주요한 네 가지 병인과 관련해 생각해볼 수 있는데 피지분비 조절, 과각화 억제, 염증완화, 여드름 세균(P. acnes) 균주 억제 등의 기능을 갖는 성분을 이용해 제품을 만들게 된다.

여드름의 가장 큰 원인이 되는 과도한 피지를 조절하는 성분이 중요한데, 아직까지 화장품 성분중 피지분비를 조절하는 것은 쉽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있다. 피지조절 대신 피지분비를 완화시키는 성분을 사용하는데 첫째, kaolin, talc, bentonite와 같은 피지흡착 성분, 둘째, 폴리페놀 성분인 epigallocatechin-3-gallate, vitamin C 등의 피지산화를 억제하는 항산화성분, 마지막으로 피지생성을 줄이는 성분을 이용하는 제품으로 나눌 수 있다.

과각화를 줄이기 위한 각질용해 성분으로, salicylic acid가 가장 많이 사용되며, alpha-hydroxy acids로는 glycolic acids가 흔히 사용된다. 각질용해 성분들은 효과에 비례하여 자극 등의 부작용의 가능성도 높아지기 때문에 사용시 주의가 필요하다. 항염기능은 niacinamide, zinc, Green tea, aloe vera, allantoin 등 식물성 항염성분이 사용된다.

기초화장은 물론 다양한 종류와 기능의 색조 화장품 사용도 잦기 때문에 클렌징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 피부에 잔여 화장품과 땀, 피지 등이 뒤엉킨다면 여드름 염증이 심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오일 타입의 클렌저 사용은 권하지 않는데 오일 성분이 피부에 남을 경우 트러블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특히 코코넛오일, 아보카도오일, 세서미오일, 콘오일 등은 피지 분비를 활성화해 여드름 악화할 수 있으므로 삼가는 것이 좋다.

성인이 된 후에 여드름이 지속된다면 규칙적인 생활습관을 유지하면서 사용하고 있는 화장품을 관찰해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체크해보는 것이 필요하다.


* 본 기사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서동혜의 화장품 Z파일

[아름다운나라피부과]
서동혜 원장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피부과 전문의, 의학박사
국무총리 표창 수상
대한피부과학회 정회원
대한레이저학회 정회원
미국피부과학회 정회원
미국레이저학회 정회원

건강한 피부를 위한 올바른 화장품 사용 노하우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