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이 인생을 바꾼다
초겨울 수면건강 빨간불!
서울스페셜수면의원
한진규 원장
겨울에는 실내가 건조하지 않도록 습도관리에 각별히 신경써야 한다. 추위 때문에 난방을 오래 지속하게 되면 실내는 마른 낙엽처럼 매우 건조해지기 쉬워지는데, 문제는 실내가 지나치게 건조하면 코 점막이 마르게 되어 호흡기질환을 야기하게 된다는데 있다. 이는 자연스럽게 구강호흡을 유도해 심장과 뇌에 무리를 주게 되어 건강에 큰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수면시 습도관리가 중요한 이유다.
사람이 잠을 자야 하는 이유는 주간에 고단하게 활동한 신체를 쉬게 해야 하기 때문인데, 수면 중에 재충전을 제대로 하지 모하면 활기찬 생활을 기대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겨울철엔 일조량이 떨어져 멜라토닌분비가 억제되는데 이는 깊은 수면을 방해하는 주된 원인이 된다.
본격적인 추위가 찾아오면 뇌혈관이 수축하게 되어 뇌졸중 발생빈도가 높아지게 되는데, 코골이나 수면무호흡 같은 수면장애가 있는 사람은 뇌졸중 위험군에 속하게 되므로 겨울철 수면관리에 더욱 신경써야 한다. 심혈관계 질환도 마찬가지다.
이처럼 중요한 수면이 방해를 받거나 질이 떨어지게 된다면 어떻게 될까? 서구 선진국에서는 고혈압, 뇌졸중, 심근경색 등 각종 성인병과 코골이의 상관관계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통해 코골이가 엄연한 하나의 질환으로 심지어 각종 성인질환을 심화시키는 만병의 근원으로까지 여겨지고 있다.
겨울철에 수면장애가 있으면 고혈압이나 뇌졸중, 심장병 같은 질병이 늘어난다는 연구결과가 다수 있는 만큼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성인 3명중 1명 이상이 다양한 종류의 수면장애를 경험하고 있으며 특히 10명중 1명은 수면무호흡증으로 인한 만성피로 및 관련 합병증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건조한 계절에 구강호흡으로 인한 수면무호흡 동반시 협심증 같은 심혈관계 질환이나 뇌졸중 같은 뇌혈관계 질환의 위험이 증가하기 때문에 수면장애의 종류 및 정도를 진단해내고 전문의와의 상담과 생활개선·약물·보조적 장비 등의 치료를 시행해야 한다.
수면질환은 예고없이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지만 그 경각심을 모르고 있는게 큰 문제다. 별 이유없이 업무능률 저하로 인한 스트레스성 질환과 같은 만성피로증후군에 시달리고 있다거나 심장 및 뇌혈관질환의 전조 증상이 나타난다면 겨울철 수면장애가 아닌지 의심해 봐야 한다.
서울수면센터 한진규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