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매일 20분 이상 규칙적으로 운동하면 40세 이후 여러 이유에 의한 병원 입원 위험이 줄어든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연구를 통해 확인된 ‘여러 이유’에는 뇌졸중, 당뇨병, 폐렴 등 수명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위험한 질환들이 포함됐다.

미국 국립암연구소 엘리너 왓츠 박사팀은 UK바이오뱅크 자료를 활용해 40세 이후 신체활동량이 입원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했다. 조사 대상에는 42~78세 성인 8만2000명이 포함됐으며, 이들은 모두 신체 활동이 기록되는 시계를 착용했다.

연구결과, 7년 사이에 4만8000명 이상이 병원에 입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입원 사유에는 폐렴, 뇌졸중, 당뇨병 합병증, 요로감염, 혈전 등과 같은 질환이 있었으며, 꾸준히 신체활동량을 유지한 사람은 상대적으로 입원 위험이 낮았다. 중년·노년기에 하루 20분 이상 규칙적으로 운동할 경우, 입원 위험이 최소 4%(결장 용종), 최대 23%(당뇨병)씩 줄어드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매일 20분 이상 중강도·고강도 유산소 운동을 지속하면 폐렴, 뇌졸중, 당뇨병 합병증 등에 의한 입원 위험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활동량·강도와 상관없이 모든 신체 활동은 활동하지 않는 것보다 건강에 도움이 되고, 강도 높은 운동을 할수록 많은 이점을 얻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특히 체중 감량이 목표라면 더 많이 운동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연구를 진행한 왓츠 박사는 “신체 활동이 면역 기능과 심장·폐 건강, 인슐린 민감성을 개선하고, 염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며 “체지방, 콜레스테롤, 고혈압 위험 또한 낮출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미 수년 동안 신체활동량이 적었던 사람도 늦지 않았다. 운동을 시작하기 바란다”고 했다.

이번 연구는 ‘자마 네트워크 오픈’에 최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