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신 음식 상상했을 뿐인데, 턱 아프다… '이 질환' 의심

이슬비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사진설명=신 음식을 먹거나, 먹는 상상을 할 때 턱이나 귀밑이 아프다면 침샘에 돌이 생겼을 수 있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신 음식을 먹거나, 상상할 때 턱이나 귀밑이 아프다면 '타석증'을 의심해야 한다.

타석증은 입 속 침샘(타액선)이나 침샘관에 딱딱한 돌이 생기는 증상인데, 신 음식을 상상하면서 나온 침이 이 돌을 건들며 찌릿한 통증이 유발된다. 턱 아래가 부어오르기도 한다.

타석증은 입 속 이물질이나 칼슘, 세균 등이 돌처럼 굳어져 턱 밑 침샘을 막아 생긴다. 주로 점성 높은 침이 분비되는 귀밑, 혀 밑, 어금니 아래쪽 침샘에서 많이 발생한다. 턱밑을 만져보면 멍울이 만져지기도 한다. 타석증으로 인한 붓기는 침이 많이 분비되는 식사 직전이나 신 음식을 먹을 때 가장 심하다.

술, 커피를 많이 마시는 40~60세 남성에게 잘 생긴다. 40대 이후 침 분비량이 줄어들고, 침 점성이 높아지는데, 술이나 커피는 몸에 탈수를 일으켜 침 분비량을 더 줄이기 때문이다. 우유, 시금치 등 고칼슘 음식을 자주 먹는 사람도 생길 수 있다.


타석증으로 침이 침샘을 통과하지 못하고 고이면 세균에 감염돼 염증이 발생할 수도 있다. 염증이 주위로 번지면 주변 치아와 신경이 손상되기도 한다. 목이 심하게 붓거나 목 안에 고름 주머니가 생기는 심경부감염이 발생할 수도 있다. 특히 당뇨병을 앓는 고령에서는 매우 위험하므로 타석증이 의심된다면 적절한 치료를 반드시 받아야 한다.

침샘에 생긴 돌이 5mm 이하라면, 턱밑이나 귀밑에 멍울이 만져지는 곳을 둥글게 비비는 등 마사지해 빼낼 수 있다. 신 음식을 먹거나 껌을 씹는 등 침 분비를 늘려 돌을 밀어내는 것도 방법이다. 돌 크기가 5mm 이상이라면 치과에서 내시경이나 절개로 제거해야 한다.

타석증은 입속에 음식찌꺼기가 많이 남아 있거나, 입안이 말라 있을 때 잘 생긴다. 예방하려면 양치를 꼼꼼히 해 깨끗한 구강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는 것도 중요하다. 침의 점도를 낮출 수 있다.


관련기사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