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

“두통까지 유발하는 턱관절장애… 스트레스를 잡는 것이 핵심입니다”

이현정 헬스조선 기자 | 사진 김지아 헬스조선 기자

‘헬스조선 명의톡톡’ 명의 인터뷰
경희대치과병원 구강내과 홍정표 교수

입을 벌릴 때마다 ‘딱’ 소리가 나거나, 하품할 때 입을 자연스럽게 벌리기 어려운 증상을 겪으면 흔히 ‘턱에 이상이 생긴 것 같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러한 증상을 가볍게 여겨 방치하면 두통이나 이명 등이 생길 뿐 아니라 입을 아예 벌리지 못하게 될 수 있다. 현대인의 건강을 위협하는 ‘턱관절 장애’ 질환에 대해 알아본다.





이미지

턱관절장애는 독자들에게 조금 생소한 질환입니다. 정확하게 어떤 질환인가요?
턱관절장애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우선 턱관절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턱관절이란 턱뼈와 두개골이 만나는 관절로 입을 열고 닫는 과정에서 귀와 얼굴이 연결되는 부위에 손을 댔을 때 움직이는 부위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턱관절뼈 사이에는 다른 뼈와 마찬가지로 충격을 완화하고 관절을 부드럽게 움직이도록 하는 디스크가 있습니다. 그런데 이 디스크가 이를 악 무는 습관이나 이갈기 등에 의해 과도하게 압력을 받아 디스크가 앞쪽으로 빠져나오는 것이 바로 턱관절장애입니다.

턱관절장애가 생기는 주요 원인은 무엇인가요?
턱관절장애가 생기는 가장 주된 원인은 스트레스입니다. 정신적으로 스트레스를 받을 경우 온몸의 근육이 수축되는데, 이 경우 턱관절 주변 근육도 수축되면서 입이 제대로 벌어지지 않는 증상이 생깁니다. 또한 스트레스가 심하면 무의식적으로 이를 꽉 다물거나 이를 가는 증상이 생깁니다. 이 경우 턱관절에 과도한 압력을 주기 때문에 디스크가 앞으로 빠져나가 턱관절장애가 생길 위험이 커집니다.

턱관절장애의 대표적 증상은 무엇이 있나요?
턱관절장애 초기에는 입을 벌릴 때 ‘딱’ 소리가 나는 것이 기본적인 증상입니다. 디스크가 앞쪽으로 빠져나가면서 관절이 부드럽게 움직이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만일 한쪽 턱에만 턱관절장애가 생긴 경우라면 입을 벌릴 때도 한쪽 관절만 제대로 벌어지지 않아 턱이 비뚤어진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이후 턱관절장애가 진행돼 디스크가 아예 빠진 경우라면 입을 제대로 벌리는 것조차 어려울 수 있습니다. 턱관절뿐 아니라 두통이나 이명 등의 증상이 생기기도 합니다.




두통이나 이명도 생길 수 있다고요?
실제로 두통이나 이명 등으로 다른 진료 과에서 장기간 치료를 받았음에도 증상이 개선되지 않아 치과를 찾아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턱관절장애가 일정상태 이상 진행됨에 따라 턱 앞쪽부터 광대뼈 아래쪽 측두근 부분에 근막통증이 생기면서 해당 근육 부위와 연결된 뇌 부위에 통증을 유발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를 꽉 무는 습관이 있는 사람은 턱근육뿐 아니라 목과 어깨 근육도 긴장하게 됩니다. 이 부분에 통증이 있는 경우에도 연관통으로 두통이나 이명 등 추가적인 증상이 동반됩니다.

턱관절장애는 어떨 때 치료를 해야 하나요?
턱에서 소리가 난다고 해서 모든 사람이 치료를 받아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턱관절에 구조적 문제가 있거나 통증이 생긴 경우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다만 치료에 있어 중요한 것은 질환의 원인을 제대로 파악하고 턱관절장애가 재발하지 않도록 근본적으로 치료를 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치료는 턱관절장애의 진행 상태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구조적 문제 탓에 국소적인 문제가 있는 경우라면 물리치료나 약물치료, 운동요법 등으로 증상을 개선시킵니다. 만일 이를 악 무는 습관 등 턱관절 장애를 유발하는 원인이 있다면 해당 문제를 개선함과 동시에 물리치료, 약물치료 등을 병행하도록 합니다. 입이 벌어지지 않는 상태까지 진행됐다면, 치과 의사가 손으로 턱관절을 원래 상태로 맞춰준 뒤 교합 안정장치 등을 이용해 찌그러진 디스크가 펴질 수 있도록 치료합니다.

턱관절장애를 예방하려면 주의해야 할 생활수칙이 있을까요?
입을 빨리 벌리거나 과도하게 벌리는 행위, 질기고 단단한 음식을 즐겨 먹는 행위를 삼가야 합니다. 입을 빠르게 벌리거나 크게 벌릴 경우 디스크에 압력을 증가시켜 턱 관절 손상을 악화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되도록 입을 천천히, 작게 벌리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하품을 할 경우 입을 과도하게 크게 벌리게 됩니다. 혓바닥 전체를 입천장 전체에 붙인 채 하품을 하면 턱 관절을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턱관절장애의 근본적인 원인인 스트레스를 제거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평소 모든 일에 있어서 자신이 계획한 방향으로 흘러가지 않는다고 스트레스를 받기보다는 편안한 마음으로 주어진 일을 해나가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만일 스스로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어렵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도 좋습니다.
예를 들어 우리 병원의 경우 턱관절장애 환자에게 심리치료도 제공하고 있는데, 인지행동치료 등을 통해 스트레스를 조절하는 방법을 익히면 현재 생긴 증상을 완화시키고 턱관절장애 재발을 막는 데 근본적으로 도움이 됩니다.

턱 마사지는 관절염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되나요?
턱관절장애를 앓고 있거나, 턱에서 소리가 나는 경우 근육을 풀어주기 위해 마사지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이미 근육이 손상된 상태에서 과도하게 마사지를 하면 오히려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이때는 아픈 부위를 20초 정도 지그시 누르는 마사지를 한 부위당 10회 정도 반복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또한 온찜질의 경우 아침저녁으로 하는 것이 좋은데, 하루 2번, 15분 이상 하면 오히려 증상 악화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삼갑니다.




홍정표

경희대 치대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사·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대한
측두하악장애학회 회장, 대한레이저치의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현재 대한스트레스
학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이갈이·코골이 치료 분야의 명의로 알려져 있으며 2012
년 ‘EBS 명의’ 프로그램에 턱질환 명의로 출연한 바 있다. 잘못된 생활습관과 무리
한 턱 사용으로 턱디스크와 턱관절장애을 호소하는 환자가 늘어나는 가운데, 올
바른 증상과 치료법을 알리기 위해 힘쓰고 있다.





占싼딅뮞鈺곌퀣苑� 占쎌뮆�э옙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