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국내에서 코로나19 감소세가 확인되나 낙관하기는 이르다는 분석이 나왔다. /중대본 제공

방역당국이 코로나19 일일 신규 확진자가 20만명대로 줄었지만, 낙관하기엔 이르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이상원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분석단장은 5일 정례브리핑에서 스텔스 오미크론(BA.2)이 국내에서 우세종화가 되고 있으나, 신규 확진자 수는 줄어들 것이라고 발표했다. 그러나 지금의 감소세가 낙관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니라고 밝혔다.

이상원 단장은 "외국과 달리 우리나라는 오미크론과 스텔스 오미크론(BA.2)가 함께 유행하는 상황이나, 현재 많은 지표를 볼 때, BA.2로 인해 유행이 상승세로 돌아설 가능성보다 감소 기조가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더 크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BA.2로 인한)2차 정점도 아직은 가능성이 낮은 상황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다만, 이 같은 예측이 위험도 평가를 '낮음' 수준으로 평가하거나 엔데믹을 언급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이상원 단장은 "질병의 유행은 지역사회의 면역력 수준, 새로운 변이 출현 등 여러 사회적 요인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며 "현재가 감소세인 것은 맞고 사망자도 다소 감소하는 등 앞으로도 상당히 더 줄어들 가능성이 있지만, 여기에 대해서 낙관하는 예측은 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이 단장은 "여전히 의료기관에 재원 중인 중증환자가 많고, 아직 의료대응 체계에서 압박을 느끼는 상황"이라며 "그래서 아직 위험도 평가도 '매우 위험'으로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이 단장은 "엔데믹은 코로나가 퇴치했다는 의미가 아니라 지역사회 내에서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수준으로 환자가 발생함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런 상황이 되려면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가 소강상태에 진입해야 하며, 방역·의료체계가 종합적 대응 역량이 갖춰져야 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