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의협 "잠재적 사망률 고려할 때… 당분간 방역 강화해야"
신은진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2/03/18 15:22
의료계가 정부의 방역정책 완화 계획을 강력히 비판하고 나섰다. 백신 접종률이 높고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의 치명도가 낮다는 이유로 방역을 완화하기엔 너무 많은 확진자가 발생, 잠재적 사망률이 높은 상황이라고 경고한 것이다.
대한의사협회 코로나19대책전문위원회는 18일 급속한 환자 증가세를 보이는 현 상황에서는 사태가 진정될 때까지 한시적인 방역완화 중지를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날 오전 정부는 21일부터 사회적 거리두기를 일부 완화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위원회는 현재 확진자와 사망자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잠재적 사망률도 고려해야 하는 심각한 상황임을 강조했다. 위원회는 "현재 사회기능이 마비되고 보건소와 의료기관의 재택치료 관리도 어려운 상황이며, 방대본은 백신 접종군에서도 최대 8일까지 34%의 양성률을 보인다고 브리핑했다"고 말했다. 이어 "이러한 상황에서 성급한 방역완화를 시도하는 것은 국민을 위험에 처하게 하는 발상이다"고 밝혔다.
특히 코로나19 환자 발생률이 치명률 감소를 웃돌 정도로 사망자가 급격히 늘고 있다며, 잠재적 사망률은 더욱 높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위원회는 "현 시점의 사망자 수로도 인구 대비 전 세계 최고 수준이지만 여기엔 짧은 격리기간 해제 후 사망한 사람들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며 "오미크론 감염 후 기저질환의 악화로 인한 사망도 증가하고 있어, 현재 집계되는 코로나19로 인한 사망자 수는 오히려 과소평가된 것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위원회는 "의료기관이 붕괴하기 직전이다"라며 "코로나19 환자들의 적절한 치료를 위한 의료기관 이송이 사실상 중단된 상태라 무더기 사망자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위원회는 "정부는 감염 폭증에 따른 위와 같은 의료기관 붕괴의 현실을 직시하고 코로나19 감염의 정점에 도달하기 전까지 또한 의료기관의 역량을 고려해 방역완화 중지를 거듭 촉구한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는 팍스로비드를 제대로 공급하지 못하는 등의 실책을 솔직히 인정하고 대책을 즉각 마련해야 한다"며 "증상 초기에 의료진이 치료제를 즉시 처방할 수 있도록 충분한 공급을 확보하고, 고위험자 치료 패스트 트랙을 시행할 것을 요구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