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과

한 쪽 얼굴이 떨리는 경련, '이것'으로 완치 가능해

이슬비 헬스조선 기자

이미지

건국대병원 신경외과 박관 교수./사진=건국대병원

자신의 의지와 관계 없이 한쪽 얼굴이 떨리는 반측성 안면경련은 '미세혈관감압술'로 완치 가능하다.

보통 반측성 안면경력은 눈 주변 떨림으로 시작한다. 떨림이 입으로 이어지고, 이후에는 눈까지 제대로 뜨기 힘들어 감기는 단계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뇌혈관이 제7번 뇌신경인 안면신경을 눌러 발생하는 것이다. 컴퓨터 모니터나 스마트폰을 오래 보면서 눈 주변 근육이 피로해지거나, 잠을 충분히 자지 못해 눈 주변 근육의 흥분도가 올라가거나, 카페인을 과다 섭취했을 때 등에도 단순 눈떨림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때는 대부분 악화요인을 피하면서 충분한 휴식을 취하면 증상이 호전된다.

눈떨림 증상 원인을 감별하기 위해서는 신경전기생리검사를 진행하며, 뇌신경 MRI 검사로 뇌혈관이 안면신경을 누르고 있는지를 확인해 최종 진단한다.

치료는 약물치료와 수술치료로 나뉜다. 건국대병원 신경외과 박관 교수는 “신경안정제나 항경련제 등의 약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효과가 거의 없어, 미세혈관감압술을 일차적으로 시행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미세혈관감압술은 안면신경과 이를 누르는 뇌혈관 사이에 테프론(Teflon)을 넣어, 신경이 받는 압력을 풀어주는 수술이다. 귀 뒤쪽을 4~5cm 절개 해 진행하며, 소요 시간은 2시간 정도다. 신경과 혈관 사이에 넣어주는 테프론은 푹신한 소재로, 화학물질 중 인체에서 염증반응 유발이 가장 적은 것으로 알려졌다.

재발이나 실패는 약 10% 이하이며, 대부분의 경우 미세혈관감압술로 완치가 가능하다. 부작용도 유의해야 한다. 박관 교수는 “귀 뒤쪽으로 두개강내로 접근하면 소뇌와 청신경이 나오며 그 앞쪽에 안면신경이 위치하는데, 안면신경을 노출 시에는 소뇌와 청신경이 살짝 당겨지는 경우가 있다”며 “이 과정에서 미세혈관의 혈액순환 장애나 청력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고 했다. 청력 손상은 수술 환자의 1~3%에서 발생한다. 박관 교수는 “최근 수술 중 청력 손실이 발생할 때 나타나는 뇌 파형 변화를 발견했다”며 “수술을 진행하면서 동시에 신경전기생리검사를 통한 뇌 파형의 패턴을 분석해 청신경 손상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도 개발했다”고 말했다.

한편, 박관 교수는 청신경 손상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기준을 개발해 국제학술지에 게재했으며 세계적 의학 출판사와 함께 반측성 안면경련 교과서를 출간하기도 했다.




�ъ뒪議곗꽑 �쒕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