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뇨기과
[젠더의학⑤] 여자가 왜 비뇨의학과에 가냐고요?
전혜영 헬스조선 기자
입력 2021/05/11 08:15
방광염도 산부인과서 진료… 최근 '금녀 구역' 관행 깨져
여성에게 방광염, 요실금 등 비뇨기질환은 흔하게 발생한다. 무릎이 아프면 정형외과에 가고, 배가 아프면 내과에 가듯, 배뇨에 문제가 있다면 당연히 비뇨의학과에 가야 할 것 같지만 그동안 여성들은 비뇨의학과가 아닌 산부인과를 찾아야만 했다. 비뇨의학과는 마치 '금녀(禁女) 구역'인 것처럼 여겨진 데다, 여성 의사도 찾아볼 수 없어 민감한 부위의 고민을 나누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여성에겐 터부시되어 왔던 비뇨의학, 최근에는 여성 전문의들이 늘어나며 금녀의 벽이 허물어지고 있다.
◇비뇨의학과는 남자만? 방광질환은 여성 환자가 70%
남성의 비뇨기질환은 대부분 전립선에 문제가 생겨 이차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여성은 생물학적인 원인으로 인해 직접적으로 비뇨기질환에 노출되기 쉽다. 이대서울병원 비뇨의학과 윤하나 교수는 "여성은 요도 길이가 짧고, 가까이에 질과 항문이 있어 세균 감염에 더욱 취약하며, 출산으로 인해 방광을 받쳐주는 주변 근육이 손상되면서 비뇨기질환이 생기기도 한다"며 "출산 경험이 없어도 폐경과 같은 호르몬 영향으로 비뇨기질환이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 비뇨기질환 중에서도 방광과 관련된 질환은 여성 환자가 70%를 차지할 정도로 많다.
그럼에도 여성이 비뇨의학과(前 비뇨기과)를 찾기는 쉽지 않았다. 기존의 비뇨의학과는 남성 환자만 진료한다는 편견이 강했던 탓이다. 비뇨의학과가 대중에게 처음 알려지던 시기에 '성의학(Sexology)'이 주목받으면서 남성의 발기부전, 조루, 성병 등 성관계와 관련된 질환을 치료하는 곳이라는 인식이 생겼다. 이로 인해 산부인과는 여성이, 비뇨의학과는 남성이 가는 곳이라는 생각이 굳어진 것. '비뇨기과'였던 명칭이 '비뇨의학과'로 변경된 것도 대중의 잘못된 편견을 바로잡기 위함이었다. 그러나 여전히 환자들은 방광염이나 요실금이 생기면 산부인과를 먼저 찾는다.
◇여성에게도 비뇨의학 필요한데… 전문의조차 없었다
비단 환자뿐이 아니었다. 1990년대까지만 해도 비뇨의학과 전문의 중, 여성은 단 한 명도 없었다. 여성 환자들은 비뇨의학과를 가고 싶어도, 부끄러운 마음에 발걸음을 돌렸다. 이때 국내 최초로 여성 비뇨의학과 전문의에 도전한 게 윤하나 교수다. '최초' 였던 탓일까. 여성 레지던트를 위한 숙소가 없어 고생하는 등 우여곡절이 있었지만 결국 전문의가 됐다. 이후 윤 교수의 뒤를 이어 여성 비뇨의학과 전문의들이 점차 늘어나기 시작했고, 현재 국내에 여성 비뇨의학과 전문의는 약 50명에 이른다. 국내 비뇨의학과 전문의가 약 3000명인 것을 고려하면 많은 수는 아니다.
다만, 여성 비뇨의학과 전문의가 늘어나며 비뇨의학에 대한 '금녀의 벽'은 조금씩 무너지고 있다. 윤하나 교수는 "여성 전문의가 있다 보니 여성 환자들 또한 비뇨의학과에 오기 편한 분위기가 됐다"며 "또한 남성을 위한 비뇨의학뿐 아니라 여성에게 취약한 방광을 전문으로 하거나, 소아 배뇨장애를 전문으로 하는 의사들도 생겨나면서 환자들에게 더욱 폭넓은 진료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개원가에서도 '여성 전문' 비뇨의학과가 조금씩 생겨나고 있으며, 산부인과처럼 '여성 전문의 진료'나 '여성 특화 진료'를 내세우는 곳도 등장했다. 지난 2016년에는 KBS1 드라마 '빛나는 은수'에서는 여성 비뇨기과 의사 캐릭터가 출연하기도 했다.
◇성차의학, 비뇨의학과에선 '선택' 아닌 '필수'
비뇨의학과는 비뇨기의 특성상 성별 특성이 굉장히 중요한 진료 과목이다. 자연스럽게 성차의학(sex specific medical)적 개념이 적용될 수밖에 없었다. 성차의학은 성별 차이로 비롯되는 질병 양상을 연구하고, 그에 적합한 치료를 제공하려는 의학 분야를 말한다. 윤하나 교수는 "비뇨의학과는 성별 차이가 확실하게 구분되어야 하는 과목"이라며 "남성은 전립선이나 신장 관련 질환이, 여성은 방광질환이 많이 생기는데, 의대나 수련 과정에서도 이러한 성별 차이를 고려해 교육을 받는다"고 말했다.
특히 윤 교수는 여성의 스트레스와 비뇨기질환의 연관성에 주목했다. 여성과 남성 할 것 없이 인간은 모두 스트레스에 취약하지만, 여성은 스트레스에 더 취약하며 그로 인한 악영향이 방광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윤하나 교수는 "방광은 자율신경(교감·부교감신경)의 영향을 많이 받는 기관인데, 자율신경은 심리적인 상태와 매우 밀접한 연관성을 갖고 있다"며 "여성은 생리적으로 호르몬의 영향을 더욱 잘 받기 때문에 스트레스에 보다 취약하다"고 말했다. 윤 교수는 이런 생각을 토대로 심리 전문가와 함께 비뇨통증 검사척도를 개발해 치료에 이용하기도 했다. 그 결과, 환자의 스트레스만 개선해도 배뇨장애 치료 효과가 높아졌다.
윤하나 교수는 "남성이든 여성이든 요도·방광 등 비뇨기에 문제가 생겼을 땐 비뇨의학과를 찾아야 하는 게 당연하다"며 "특히 여성의 방광질환은 단순히 기질적 문제가 아닌, 심리적 요인이 원인일 수 있으므로 그에 적합한 치료를 받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