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이시형 박사의 뇌피로와 과학적 휴식법] [1] 쉬지 못하는 도시인의 뇌… 면역체계 무너뜨려 만병 부른다
이시형 세로토닌문화원 원장
입력 2018/05/04 09:03
자율신경은 활동성 교감신경과 휴식성 부교감신경이 균형 있게 활동해야 하는데 교감신경이 과로로 인해 혹사하고 있으니 자율신경 부조증이 오게 돼 있다. 교감·부교감신경의 균형이 60대50 정도야 하는데 우리는 80대20으로 불균형이다. 이렇게 되면 자율신경사령부인 뇌속 시상하부에 엄청난 부담이 온다. 여기는 식욕, 성욕 등 본능의 중추와 함께 생명과 직결되는 3대 시스템에 문제가 생긴다. ▲교감신경 과로 ▲호르몬 대사 기능 ▲면역체계, 이 3대 시스템은 생명과 직결되는 중요한 기능을 맡고 있으며 시상하부에서 함께 협동하고 있다. 따라서 하나에 문제가 생기면 다른 시스템에도 문제가 발생한다. 스트레스를 받고 교감 과로가 오면 자율신경부조증이 오고 밥맛도 없고 먹어도 소화가 안 된다. 그리고 면역체계가 약화돼 감기에 잘 걸리고 잔잔한 염증이 생기기 시작한다.
이런 상태가 만성적으로 장기화 되면 당뇨병, 고혈압, 암 등 소위 생활습관병이 따라온다. 그야말로 만병의 원흉이다.
요즘 보건소에서는 생활습관병 예방을 위해 대사증후군 대책에 열을 올리고 있다. 하지만 그 이전에 뇌피로 예방과 회복을 위한 대책이 선행돼야 한다. 뇌피로 증후군으로 3대 시스템에 고장이 나면 대사증후군이 오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