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과

[메디컬 Why] 동그란 안구, 럭비공처럼 일그러져 시신경·망막 당겨지며 손상

김하윤 헬스조선 기자

근시가 실명 질환 위험 높이는 이유

이미지

/신지호 헬스조선 기자
근시(近視)가 있다면 나이와 관계없이 실명 질환 위험이 없는지, 정기적으로 검사를 해야 한다. 근시가 있으면 녹내장, 망막박리, 황반변성 같은 질환에 걸릴 위험이 높기 때문이다. 김안과병원 황영훈 교수는 "근시가 있으면 녹내장 위험이 2~4배 높아지며, 근시가 심할수록 황반변성·망막박리 같은 실명 질환 위험도 커진다"고 말했다.

근시가 실명 질환 위험을 높이는 이유는 무엇일까? 안구의 길이에 그 해답이 있다. 근시가 있으면 안구가 비정상적으로 길게 자라는 탓에, 안구에 붙어 있던 시신경·망막·황반도 정상보다 팽팽하게 당겨져 손상 위험이 커진다.

안구는 보통 성장기에 지름(눈 앞부분인 각막부터 황반부까지 이르는 길이) 2.3~2.4㎝의 원 모양으로 자란다. 그런데 유전 등으로 인해 과도하게 성장해 럭비공처럼 가로로 길어지면 멀리 있는 사물을 볼 때 초점이 제대로 맺히지 않아 근시가 생긴다. 이때 안구 뒤쪽 표면에 붙어 있던 시신경도 함께 당겨지면서 정상보다 가늘어지고 약해진다. 시신경은 눈으로 들어온 빛을 뇌로 전달하는 기능을 하며, 시신경이 끊어지면 시야 일부가 안 보이는 녹내장이 생긴다.


안구를 싸고 있던 망막도 팽창하며 얇아진다. 망막이 약해지다가 일부가 안구 벽면으로부터 떨어져 나가면 시야가 갑자기 캄캄해지는 망막박리가 생긴다.망막 중심에서 시력의 90%를 담당하는 황반도 문제다. 황반이 늘어나다가 미세하게 찢어지면 황반을 싸고 있던 혈관층(맥락막)으로부터 영양분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는다. 황반은 혈관을 새로 만들어내 혈관층으로부터 부족한 영양분을 보충받으려 하는데, 이 혈관은 대부분 약하고 불완전해서 쉽게 터진다. 이 탓에 피가 새어 나와 황반을 가리면 실명 위험이 높은 황반변성이 된다.

따라서 근시가 있으면 10대 때부터 시신경·망막 상태를 살피는 안저검사 등을 6개월~수년 단위로 정기적으로 받아야 한다. 황영훈 교수는 "검진을 하면 눈 상태에 따라 안압을 낮추는 약물치료 등 예방 치료를 할 수 있으며, 질환을 조기 발견해 병의 진행을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



占싼딅뮞鈺곌퀣苑� 占쎌뮆�э옙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