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콜레스테롤 너무 적어도 우울증 온다

김경원 헬스조선 기자 | 참고서적=마음을 망치는 음식 마음을 살리는 음식(비타북스)

우리 몸에 콜레스테롤 수치가 올라가면 좋을 일이 않지만, 너무 적어도 우울증이 생길 수 있어서 좋지 않다.

우리 몸에 있는 콜레스테롤의 4분의 1 정도가 신경세포에 모여 있다. 콜레스테롤은 뇌 신경세포의 형태를 유지하는데 꼭 필요한 물질인데다 뇌의 신경전달 속도를 향상시키는 데도 쓰이는 탓에 콜레스테롤이 너무 적으면 행복호르몬인 세로토닌의 기능에 이상이 초래된다. 세로토닌이 제기능을 못하면 우리는 우울증에 빠진다.

실제 미국 듀크대학 에드워드 수아레스 박사팀이 18~27세 여성 121명의 피를 뽑아서 콜레스테롤 수치를 확인한 다음, 저콜레스테롤혈증 그룹(69명)과 저콜레스테롤혈증이 아닌 그룹(52명)으로 나눠서 정신건강 상태를 측정했다. 그 결과, 우울척도에서 점수가 높은 사람이 저콜레스테롤혈증 그룹은 39%였고 저콜레스테롤혈증이 아닌 그룹이 19%로 2배 차이를 보였다. 또 "우울감이 심해서 병원에 온 사람의 혈액 검사를 해보면 콜레스테롤 수치가 대체로 낮다"고 주장하는 의학자도 있다.

그렇다고 아무 지방이나 많이 섭취하라는 것이 아니다. 좋은 지방이 있고, 나쁜 지방도 있기 때문이다. 우울감이 있을 때는 좋은 지방의 섭취를 늘려야 한다. 좋은 지방은 고등어, 정어리 같은 등푸른 생선에 많은 오메가3지방산과 들기름, 아마씨유에 많이 들어간 알파 리놀렌산 등이 있다.

나쁜 지방은 늘려선 안된다. 대표적으로 트랜스 지방산으로, 과자나 빵을 만들 때 사용하는 쇼트닝, 마가린, 마요네즈, 드레싱, 아이스크림, 감자칩 등에 많이 들어 있다.




관련기사

癲ル슢��옙�볦삕�좑옙 占쎄퀗�э옙占� 占쎌쥙�ο옙�쇱삕�좑옙

占쎌쥙�э옙�낆릇占쎈툕�쀯옙節덈빝�좑옙 占쎌쥙�⑵짆�낆삕占쏙옙�용쐻�좑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