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경도 패션이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안경을 기분 또는 상황에 따라 바꿔 쓰기 위해 두 세개씩 가지고 있는 사람이 있다. 그런데 여성들은 안경을 쓸 때 화장을 어떻게 해야 하는 지 고개를 갸웃 거릴 때가 많다. ‘귀고리는 어떤 걸 해야 하는 지, 아이라인은 진하게 또는 연하게 해야 하나?’ 등 고민을 하게 된다.

가수 이효리와 배우 김태희 등 최고의 연예 스타들의 메이크업을 담당했던 정샘물의 책 ‘정샘물의 시크릿 뷰티’에 소개된 안경 착용했을 때의 메이크업 유의점을 알아봤다.

◆커다란 귀걸이는 피해야
여성이 귀걸이를 하면 1.5배 예뻐 보인다는 말이 있다. 심플한 옷이라도 귀걸이 하나로 화려함을 연출하기도 한다. 그러나 안경을 쓴 날은 자제해야 한다. 안경을 쓰게 되면 상대방이 가장 먼저 시선이 머무는 곳이 안경 프레임이다. 이와 비슷하거나 같은 크기의 액세서리가 얼굴 가까이에 있게 되면 시각적으로 거부감을 준다.

◆강한 ‘아이’ 메이크업은 No
안경을 쓰게 되면 눈이 작게 보인다고 해서 눈 화장을 평소보다 강하게 하는 여성들이 많다. 하지만 이는 잘못된 상식이다. 아이라인을 강조한 화장을 하거나 마스카라를 진하게 바르면 안경 프레임과 메이크업이 서로 부딪치면서 거슬려 보일 수 있다. 아이 메이크업은 피부색보다 약간 화사하게 또는 톤 다운된 컬러의 아이섀도를 눈두덩이에 살짝 발라주는 정도로만 끝내는 게 좋다.




이미지
사진-조선일보DB
◆입술색은 안경 프레임에 따라
컬러풀한 뿔테나 짙은 브라운, 블랙 등 안경테 자체가 강하면 립 라인을 강조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 레드 립스틱과 같은 강한 입술색을 선택했다면, 립 라인은 약간 흐릿하게 표현하는 것이 좋다. 반대로 골드나 실버 등 메탈류의 프레임인 경우 너무 글로시한 립글로스는 피한다. 입술과 눈의 느낌이 너무 비슷해지면 시선을 사로잡을 수 없다. 둘다 밋밋하거나, 둘 다 튀지 않도록 해 균형을 이룬다.

◆피부톤은 안경테 성질과 반대로
골드나 실버 등 메탈릭한 안경 프레임의 경우 피부 톤은 살짝 매트하게 한다. 반대로, 광이 나지 않는 강한 프레임은 화사하고 반짝거리는 피부 톤이나 글로시한 입술이 어울린다. 메이크업에는 균형이 중요하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