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첫째, 손에 힘을 풀어야 하기 때문이다. 강명근 을지병원 구강악안면외과 교수는 "속눈썹을 올리는 것처럼 정교한 작업을 하려면 손에 힘을 풀어야 하는데, 이때 전신의 근육이 이완되는 과정에서 턱 근육도 따라 이완된다. 턱 근육의 이완으로 중력에 의해 턱이 아래로 떨어지면서 입이 저절로 벌어진다"고 말했다. 반대로 팔씨름을 하거나 무거운 물건을 드는 등 손에 힘을 꽉 줄 때에는 순간적으로 전신의 근육이 긴장되므로 자신도 모르게 턱 근육이 수축돼 입이 꽉 다물어진다.
둘째, 고개를 뒤로 젖히기 때문이다. 마스카라를 칠할 때에는 속눈썹 아래로 솔을 넣어 뿌리부터 칠해야 하므로 고개를 젖혀야 잘 칠해진다. 강 교수는 "이때 머리의 위치가 변하면 뇌는 온몸에 '균형이 깨졌다'는 신호를 보내 머리를 원상태로 돌리기 위한 '자세 반사' 반응을 일으킨다. 턱 근육의 자세반사 반응은 입술을 3㎜ 정도 벌리는 것이다"고 말했다. 이런 과정에서 무의식중에 입이 벌어지는 것이다. 고개를 젖히고 안약을 넣을 때 입이 벌어지는 원인도 이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