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21-08-09

많은 사람들이 아픈 증상에 대해 검색을 하고 유추한다. 그래서 굳이 병원에 가지 않고 약만 사먹는 경우도 있고, 진료를 받으러 오면서도 ‘이런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보니 이 질환 같다’고 스스로 판단하는 경우도 있다. 물론 정보의 바다라고 불리는 인터넷을 검색하면 여러 정보들이 끊임없이 나온다. 검색을 통해 생활습관이나 식습관을 조절하는 것은 본인의 건강을 위해 좋은 일이다. 그렇지만 부분적인 증상만으로 질환을 판단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다.

병원을 찾은 한 환자는 “손가락이나 팔이 저리거나 목과 어깨가 아프다”며 증상을 말하고는 “목 디스크가 있는 것 같다”고 말한다. 더 자세히 물어보면 목부터 손끝까지 증상이 있고 특히 약지와 새끼손가락에 저림이 나타난다고 한다. 환자에 따라 두통이나 턱의 통증 등을 호소하기도 한다. 특히 여성의 경우 가슴 쪽으로 가는 신경이 눌리면 유방암을 의심할 정도로 심한 가슴통증이 느껴지기도 한다. 여러 가지 증상이 나타나다 보니 어디에서 진료를 봐야 할지도 막막하고, 다른 질환으로 오인되기도 하기 때문에 전문의와 상담 후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목, 팔, 손의 저림과 통증으로 잠을 편히 잘 수 없고, 증상이 반복된다면 ‘흉곽출구증후군’을 의심해 볼 수 있다. 흉곽출구증후군은 제1늑골과 쇄골, 견갑골 상연이 형성하는 삼각형 공간(흉곽출구)에서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상완신경총(어깨부터 팔꿈치 사이에 신경세포가 집단을 이루고 있는 부위, 경추5번 신경부터 흉추1번 신경이 모여있다.), 쇄골하정맥(빗장 밑 정맥) 및 동맥 등이 눌려서 통증이 발생하는 증상이다.

흉곽출구증후군은 선천적인 원인이나 교통사고 등의 외상으로 나타날 수 있지만 대부분 잘못된 자세로 인해 발생한다. 스포츠선수나 컴퓨터 프로그래머, 학생 등 목과 어깨에 부담을 주는 자세를 오랫동안 유지하거나, 무거운 가방을 메고 다니는 등 어깨를 많이 사용하는 일을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할 때 흉곽출구에 영향을 미친다.

환자마다 증상이 달라 진단이 어려운 질환이다. 여성의 경우 가슴에도 통증이 올 수 있어 유방암이나 협심증으로 의심하기도 하고, 목 디스크 등 척추질환, 오십견과 같은 어깨질환, 수부질환 등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 두고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증상만으로는 판단이 어렵기 때문에 전문적인 진료와 혈관 조영검사, 동맥류검사, 근전도 검사 등 이학적 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다.

환자의 대부분은 약물치료와 물리치료 등으로 호전될 수 있다. 그러나 6개월 이상 호전되지 않는 경우 상완신경총이나 혈관을 압박하는 전사각근이나 제1늑골을 절제해 흉곽출구를 넓히는 방식으로 수술을 진행하기도 한다. 근육이나 신경의 긴장을 호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목과 어깨의 스트레칭으로 긴장을 풀어주고, 무거운 물건을 드는 일은 삼가는 것이 좋다.


* 본 기사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튼튼한 허리 든든한 인생

[수원윌스기념병원]
박춘근 병원장

[학력 및 경력]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대학원 신경외과학 석/박사
(전)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성빈센트 병원, 신경외과 부교수
(현)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빈센트병원 외래교수
미국 뉴욕주립대학교 교환교수
대한최소침습척추수술연구회 6대 회장 취임
대한최소침습척추수술연구회(KOMISS) 고문
대한줄기세포∙조직재생학회 부회장
척추치료기기명품화연구회 초대 회장 역임
대한신경외과 서울경인지회 부회장
대한척추내시경수술연구회 부회장

대한적십자사 경기도지사 상임위원
경기국제의료협회(GIMA) 이사
대한척추신경외과학회 보험상임이사
대한병원협회 상임이사
집회시위자문위원회 위원장
국민건강보험공단 재난적 의료비 심의위원장
경기도의사회 부회장
대한전문병원협의회 보험위원장
대한중소병원협의회 사업위원장
수원지방검찰청 의료자문위원회 회장
수원지방검찰청 범죄피해자지원센터 부이사장

[주요 저서]
미국에서 출판된 의학교과서
‘Lumbar Interbody Fusion Techniques : Cages, Dowels, and Grafts’(공저)
척추학 제2판(대한척추신경외과학회, 공저)
최소침습 척추수술(공저)
신경 손상학 교과서(대한신경손상학회, 공저)
건강서적 ‘튼튼한 허리, 든든한 인생’(단행본, 저자)

백세 인생을 위한 쉽게 풀어쓰는 척추 가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