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복준 원장의 <오팔청춘 눈건강>
백내장 초기 증상과 치료… 예방도 가능할까?
밝은눈안과 강남
지복준 원장
안과에서 백내장 진단을 받는 환자의 대부분은 본인이 백내장이리라 예상치 못하고 내원한 경우가 많다. 나이 들수록 시력이 떨어지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어서 ‘요즘 들어 눈이 더 침침하고 답답하네’ 싶어서 안과를 찾았다가 갑작스럽게 백내장 진단을 받는다.
얼마 전에 진료받았던 50대 후반의 환자도 그랬다. 백내장이 진행되고 있던 상태였지만 젊은 시절부터 시력이 그렇게 좋은 편은 아니었던 터라 그저 시력이 더 안 좋아지는 것이겠거니 하고 안과를 찾을 필요성조차 느끼지 못했다고 환자는 말했다. 더구나 이 환자는 시야가 뿌옇게 되는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으니, 스스로 백내장을 의심할 이유가 없기도 했다.
백내장은 수정체가 혼탁해지는 안질환으로, 발병하면 앞이 안개처럼 뿌옇게 보여 시야 확보가 어렵고, 색을 구분하기가 어려워지거나 사물이 두 개 이상으로 겹쳐 보이는 증상이 나타난다. 심한 눈부심 증상과 점진적인 시력 감퇴는 물론 좀 심한 경우에는 눈으로 확인이 가능할 만큼 눈동자가 하얗게 변한다.
그러나 이 환자의 경우처럼 전조 증상이 없이도 백내장은 초기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또 당뇨나 기저질환 등에 의해서도 나타날 수 있고, 증상이 나타난다 하더라도 노안과 증상이 비슷해 환자가 치료시기를 놓치지 쉬우므로 시력에 이상이 나타난다면 바로 안과를 찾는 것을 추천한다.
백내장 초기라면 약물을 이용해서도 치료를 하지만, 약물 치료는 진행 속도를 늦추는 것뿐 근본적인 원인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니다. 백내장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수술을 고려한다. 수술은 근본적인 원인을 치료함으로써 뚜렷한 시력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백내장 수술의 대표적인 방법은 다초점 인공수정체 삽입술이 있다. 혼탁해져서 정상적인 기능을 하지 못하는 수정체를 제거한 후 인공적으로 제작한 수정체를 삽입해 대체하는 방식인데, 노안과 백내장을 동시에 개선할 수 있고 다양한 초점 거리를 교정할 수 있다.
단초점 렌즈의 경우 주로 먼 거리만 잘 볼 수 있도록 초점을 맞추고, 수술 후에도 근거리를 보기 위해서 돋보기를 사용해야 하는데 반해 다초점 렌즈는 먼 거리와 중간 거리, 가까운 거리 모두 초점을 맞추고, 별도의 돋보기 등 보조장치가 필요 없다. 게다가 수술시간이 짧고, 수술 후 통증이 거의 없어 회복기간이 짧아 환자들의 선호도가 높다.
다만 환자의 생활습관이나 직업 등 여러 환경적인 요인에 따라 적합한 인공수정체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의사와 충분히 상의해서 결정해야 한다.
백내장은 일단 발병하면 수술이 가장 근본적인 치료법이지만, 아직 발병하지 않았다면 눈에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하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혈압이나 당뇨 등 만성질환을 관리하기 위한 건강한 생활습관이 있듯이, 눈 건강에 좋은 습관이 있다. 예를 들어, 1~2시간 눈을 사용했다면 10~20분 휴식을 취해주고, 난방기를 사용하는 겨울에는 가습기를 이용해 적절한 실내 습도를 유지해준다든지, 어두운 방에서 핸드폰을 오래 들여다보지 않는 것 등이 눈의 피로도를 낮춰 눈을 건강하게 관리하는 방법이다.
눈 건강은 건강한 습관을 지속하면 충분히 관리가 가능하며, 무엇보다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병행한다면 적절한 시기에 질환을 발견하고 치료받을 수 있으므로 검진을 생활화하는 습관도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