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완 원장의 <아는 만큼 '보인다'>

백내장 수술 다초점렌즈, 눈 상태ㆍ생활패턴 둘 다 고려해야

BGN 밝은눈안과 롯데타워

김정완 원장

눈 속 수정체가 혼탁해지는 백내장 질환은 40대초반부터 나이가 들면서 나타나는 노인성 백내장과 유전적 요인으로 나타나는 안과질환이다. 발병 시기나 증상의 정도에서 차이가 날 뿐 상당수의 중장년층에서 나타난다. 근거리 사물이 안개 낀 것처럼 뿌옇게 보이거나 흰 색이 누렇게 변색돼 보이기도 하고, 한 쪽 눈으로 볼 때 사물이 겹쳐 보이는 현상이 대표적인 증상이다.

치료를 방치할 경우 시력이 심각하게 저하되고, 합병증을 유발할 우려가 있어 백내장 치료는 수정체를 교체하는 수술을 하게 되는데, 최근에는 원거리와 근거리 모두에 초점을 둔 다초점 인공수정체를 많이 선호하는 추세다.

다초점 렌즈는 망막에 도달되는 빛의 양을 자동으로 조절해 초점이 2개 이상 맺혀 거리와 상관없이 사물을 또렷하게 볼 수 있는 인공수정체다.

단초점 렌즈의 경우 초점이 맺힌 곳만 잘 보여, 다른 거리를 보기 위해서는 돋보기나 안경을 착용해 보완해야 하지만, 다초점 렌즈의 경우 모든 거리의 시력을 개선해 별도의 돋보기와 안경을 착용하지 않아도 된다.

다만 다초점 렌즈를 선택하기에 앞서 눈의 상태는 물론 개인의 직업이나 취미활동 등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다초점 렌즈를 출시한 브랜드가 다양하고, 다초점 렌즈마다 특화된 특징 또한 제조사마다 다르기 때문이다.

옷을 구매할 때 사이즈가 XL, L로 똑같이 표기돼 있다 하더라도, 제작업체마다 실제 길이나 폭이 조금씩 차이가 나듯이 다초점 렌즈 역시 브랜드마다 잘 보이는 거리와 도수 등에 차이가 있다.

이에 따라 환자의 도수, 망막 상태 등을 정밀하게 검사한 결과와 개인의 생활패턴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가장 적합한 렌즈를 선택해야 한다.

예를 들어, 야간배송 업무 등 야간 운전이 잦은 사람이라면 빛 번짐이 적은 다초점 렌즈를 선택하는 것이 일상에서의 만족도를 크게 높일 수 있으며, 교실에서 많은 학생을 상대해야 하는 교사라면 근거리와 중간거리, 원거리를 모두 잘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초점에 특화된 다초점 렌즈를 착용해야 할 것이다.

자신의 생활 환경이나 취미 등을 고려하지 않은 채 무턱대고 다초점 렌즈를 삽입하면 시야가 부자연스럽거나 주요 사용하는 초점거리의 선명도가 떨어져 만족스럽지 않은 경험을 하게 될 수도 있다.

필자 역시 평소 환자 상담에서부터 꽤 많은 품을 들인다. 성공적인 치료의 첫 단계는 바로 정확한 진단이다. 환자 개인마다 안구의 상태가 다르기 때문에 각막검사 등의 정밀한 검진을 기본으로 시행하고, 환자에게 더욱 적합한 렌즈를 선택하기 위하여 환자의 직업이나 활동량 등의 생활패턴을 자세히 청취하는 데 비중을 둔다. 그러면 더욱 정확하고, 안전성과 환자 만족도가 높은 수술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눈은 인체에서 가장 예민하고 연약한 부위 중 하나다. 때문에 보다 자신에게 잘 맞고, 안전한 백내장 치료, 다초점인공수정체 삽입술을 원한다면 수술 경험이 많고, 렌즈 선택의 폭이 넓은 안과를 찾아 충분한 상담을 거치고 결정하기를 추천한다.

* 본 칼럼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인간의 감각 70% 정도를 당담하는 시각, 나는 '눈'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을까? BGN밝은눈안과 김정완 원장의 '아는 만큼 잘 보이는' 시력이야기는 현대인들의 다양한 안구질환과 올바른 치료 정보를 제공한다.

네이버배너
프렌즈배너

癲ル슢��옙�볦삕�좑옙 占쎄퀗�э옙占� 占쎌쥙�ο옙�쇱삕�좑옙

占쎌쥙�э옙�낆릇占쎈툕�쀯옙節덈빝�좑옙 占쎌쥙�⑵짆�낆삕占쏙옙�용쐻�좑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