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란원장의 알기 쉬운 치아 건강 이야기

구강 건강 위한 사랑니 발치, 정확한 진단으로 안전하게!

크림치과

김정란 대표원장

사람의 치아 중 가장 늦게 자라는 사랑니는 큰 어금니 중 세 번째 위치인 제3대구치를 가리키는 말이다. 사랑니를 모두 가지고 있을 경우 위 아래턱 양쪽에 한 개씩 모두 4개가 되는데, 사람들마다 사랑니 나는 개수도 달라 1~4개로 다양하다. 사랑니가 아예 나지 않는 경우도 대한민국 성인 인구 중 약 7%정도라고 한다. 사랑니는 주로 17세부터 25세 사이에 자라는데, 그 시기가 사랑을 알게 되는 때와 비슷해 ‘사랑니’라 부른다. 서양에선 지식을 깨닫게 되는 시기에 나는 치아라고 해 ‘wisdom tooth(智齒)’라 불리운다.

이렇듯 이름도 예쁜 사랑니. 그런데 이 사랑니 때문에 고통에 시달리는 사람들이 있다. 정상적으로 자라나 청결하게 관리한 사랑니는 치아가 본래의 기능을 하는데 아무 문제가 없지만, 치열의 맨 끝, 즉 공간이 부족한 자리에 자리를 잡다 보니 관리가 어려워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어금니와 사랑니 사이에 음식물이 끼어 충치가 생기거나, 잇몸이 자꾸 붓고 염증이 생기는 등 다양한 질환이 생기게 된다. 또한 사랑니는 다른 치아가 다 자리를 잡은 후 뒤늦게 나오기 때문에 비좁은 공간 탓에 똑바로 자라지 못하고 옆으로 누워 있거나 잇몸 속에 완전히 숨어있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관리가 더욱 어렵다. 물론 완전히 매복 되어 있는 경우보다는 부분적으로 외부로 노출되어 잇몸염증을 일으키는 경우가 더 많다. 심한 경우엔 어금니를 밀치며 나와 치열이 망가지기도 한다.

이런 다양한 이유로 사랑니는 원칙적으로 발치를 하는 것이 좋다. 사랑니는 기능적으로 큰 역할이 없으면서 여러 문제를 일으키는 치아이기 때문에 더 큰 문제가 발생하기 전 미리 의료진과 상의해 발치 여부와 시기를 결정하는 것이 좋겠다. 많은 사람들이 ‘생니를 뽑는다’는 막연한 두려움에 사랑니 발치를 미루다 다른 치아에까지 문제가 생긴 후 에야 치과를 찾곤 하는데, 통증을 최소화하는 무통마취기 등을 사용하여 덜 아프고 편안하게 시술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큰 부담은 줄일 수 있다.

사랑니가 누워있는 경우 전문적인 진단과 진료로 적기에 발치를 해주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그래야 잇몸질환과 인접한 치아의 치열 변경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사랑니가 매복 되어 있는 경우 숨겨진 치아의 상태와 신경의 위치까지 정확한 파악이 우선되어야 하기 때문에 경험이 풍부한 의료진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때문에 3D-CT 등을 통한 정밀검사를 비롯해 의료진의 전문적인 진단을 바탕으로 한 발치 계획이 가능한 치과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매복 사랑니 발치는 발치가 필요한 부위의 잇몸을 절개한 후 잇몸뼈의 일부를 제거하고 사랑니를 깔끔하게 빼낸 후 잇몸을 봉합하는 것으로 치료가 마무리된다. 때문에 봉합된 곳이 잘 아물고 2차 감염이 생기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발치 후 세심하게 신경을 써 주어야 한다. 먼저, 발치 후 한 시간 정도는 솜을 물고 있으면서 지혈해 주어야 한다. 얼음찜질도 도움이 되고, 지혈이 되면 식사를 할 수 있는데 이때 너무 뜨겁거나 차가운 음식은 피해야 한다. 그리고 발치 부위의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필수이며 1주일 정도는 빨대 사용을 피하는 것이 좋고 코를 심하게 풀거나 침을 뱉는 것도 좋지 않다.
* 본 칼럼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치아건강관리 및 치과질환 예방을 위한 지식과 정보 제공 치과진료 과목별 진료방법 소개 각종 치과질환에 대한 지식과 정보 제공

�ㅼ씠踰꾨같��
�꾨젋利덈같��

癲ル슢��옙�볦삕�좑옙 占쎄퀗�э옙占� 占쎌쥙�ο옙�쇱삕�좑옙

占쎌쥙�э옙�낆릇占쎈툕�쀯옙節덈빝�좑옙 占쎌쥙�⑵짆�낆삕占쏙옙�용쐻�좑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