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청기의 모든 것

행동과학·심리학… 보청기 효과 높이는 의외의 필수 요건들

김성근 이비인후과

김성근 대표원장

대개 난청이 있는 분들은 조용하고 수동적인 생활을 해 오신 분들이 많다. 그러나 난청이 있을수록 보다 적극적인 생활을 추구하고 문화와 사회 활동을 적극적으로 즐기는 생활 태도가 난청인의 사회 활동을 통한 정신건강을 유지하고 삶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물론 난청이 있는 경우에는 사회활동에 참여하려면 정상인에 비해 뇌가 더 힘들게 소리를 알아듣기 위해 노력 하게 되고 그로 인해 하루가 끝날 무렵이 되면 완전히 탈진되기 마련이다. 그렇기 때문에 난청이 있는 분들은 난청으로 인해서 집중하느라 고된 하루의 끝에서 감소된 에너지로 더욱 피곤함을 느낄 수 있다. 이럴 경우 보청기로 모든 청취상황에서 사용자의 듣기수행능력을 향상시켜줘야 하는데 듣기수행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각 사용자의 청각 능력과 소리에 대한 선호도를 최대한 반영하여 청력을 개선시켜야 하고 이때 사고의 인지적인 기능도 반드시 보강 및 강화 되어야 한다.

보청기로 난청치료를 시작하는 분들 개개인의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의학적인 진단과 청력검사결과의 이론적이고 지식적인 판단만으로 치료방향을 결정하는 것은 부족한 면이 있다. 여기에는 사용자의 행동과학 및 심리학,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보청기의 컴퓨터 과학 등의 다양하고 폭 넓은 전문분야들에 대한 관리자의 이해가 필요하고 이를 바탕으로 치료방향을 결정해야 한다. 즉 난청의 치료과정은 사용자의 동기부여 및 장려, 사용자의 행동과학 및 심리학적인 특성, 처방된 보청기의 물리적인 특성과 기능을 반영하여 개인의 맞춤형으로 치료방향을 결정해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개별화된 접근 방식을 통해 청력회복을 도모함으로써 각자의 개인의 소리환경에 따라 다양한 요구사항을 만족시킬 수가 있다.

보청기 사용자의 높은 기대감과 본인의 청력손실의 정도 및 그로인한 청력개선의 예상치를보청기 사용자에게 정확히 인지시키고 보청기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행동과학, 심리학, 컴퓨터 과학 등의 전문분야들에 대한 전문가의 이해를 바탕으로, 이러한 전문지식을 이상적으로 조화시키는 것이 보청기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 본 칼럼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난청의 진단에서 부터 적절한 보청기 처방, 보청기관련 최신기술, 청각전문 서비스에 대한 내용을 소개를 하고자 합니다.

네이버배너
프렌즈배너

占싼딅뮞鈺곌퀣苑� 占쎌뮆�э옙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