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질환, 알면 선택하기 쉬워요!
알아두면 쓸 데 있는 통증별 예상 척추질환
서초21세기병원
성경훈 대표원장
발병 건수가 가장 많은 척추질환은 무엇일까? 주로 가까운 3차 병원을 찾는 급성요통이 가장 흔할 것이다. 좀 더 큰 병원을 찾게 되는 질환으로는 디스크가 빠져나가는 요추간판탈출증(허리디스크)과 경추간판탈출증(목디스크)이 많다. 그 다음으로 척추관협착증, 척주전방전위증, 골다공증성 척추압박골절 정도가 흔한 질환이라 할 수 있다. 청소년기 대표 질환으로 척추가 옆으로 휘는 척추측만증이 있지만 흔하지 않다. 많은 환자가 진료 시 자신이 특정 질환인 것 같다고 이야기한다. 가끔은 맞고 대부분 틀리다. 가장 많은 척추질환에 대해 이야기해 본다.
다양한 연령대에서 많은 급성요통⦁요추간판탈출증⦁경추간판탈출증
급성요통(요추부염좌)은 ‘허리를 삐끗했다’고 느껴지는 순간 등 허리에 무리가 갔을 때 허리 주변 근육이나 인대가 순간적으로 손상 받아 생긴다. 급성요통은 허리만 아픈 경우가 대부분이다. 다른 척추질환이 있을 경우엔 허리 통증과 함께 엉덩이부터 발끝까지 아프거나 찌릿찌릿한 감각 증상이 함께 나타난다. 급성요통은 허리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안정을 취하며 약물치료나 물리치료를 받으면 낫는다. 움직일 수 없을 정도로 극심한 통증이 있다면 바로 병원을 찾아 디스크가 탈출된 것은 아닌지 검사받아야 한다. 참을 만한 통증이라도 2주 정도 지속되면 정밀검사를 받자.
요추간판탈출증(허리디스크)과 경추간판탈출증(목디스크)은 각각 요추(허리뼈)와 경추(목뼈)에서 쿠션 역할을 하는 디스크가 탈출돼 생기는 질환이다. 잘 자고 일어났을 때 발생하는 등 예기치 않게 생기는 경우가 많지만 평소 나쁜 자세로 인해 만성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많다. 요추간판탈출증은 대부분 요통과 함께 골반이나 엉덩이, 다리 통증이 함께 나타난다. 삐져 나온 디스크가 척추 신경을 압박해 허리 통증 없이 다리만 심하게 땅기는 증상이 있을 수도 있다. 디스크 탈출로 인한 허리 통증은 고개를 숙일 때, 허리를 굽힐 때, 재채기할 때 더 심해진다. 심하지 않더라도 엉덩이와 다리 통증이 2주일 이상 계속되면 척추 전문의를 찾아야 한다. 가장 많이 알려진 요추간판탈출증 자가진단법은 똑바로 누워서 통증이 있는 다리를 쭉 편 상태로 위쪽으로 들어 올리는 것이다. 다리를 70° 이상 올리는 과정에서 엉덩이와 다리가 땅기고 아프면 요추간판탈출증일 가능성이 높다.
갑작스런 외부충격으로 급성 통증이 생기는 경우도 있지만 경추간판탈출증은 생활 속 잘못된 자세가 원인인 경우가 많다. 목이 심하게 뻐근하고 잘 젖혀지지 않으면 병원을 찾아 경추간판탈출증인지 검진받아 보자. 심하면 팔이나 손가락 끝이 저리기도 하다. 심하지는 않으나 뒷목과 어깨 부위 통증이 6주 이상 계속되면 척추 전문의를 찾는 것이 좋다. 통증이 극심하면 당연히 바로 병원을 찾아 치료 받아야 한다.
중년 이후에 많은 척추관협착증⦁척추전방전위증⦁척추압박골절
대표적인 척추 퇴행성 질환으로 척추관협착증이 있다. 척추 노화가 시작되는 40대부터 조심해야 한다. 노화 등으로 디스크 속 수분이 빠지면 위아래 척추 사이가 좁아지고, 그로 인해 척추 관절과 주위 조직이 두꺼워지면서 척추관이 좁아져 신경을 눌러 통증을 일으킨다. 초기에는 허리와 엉덩이에 통증이 생겨 요추간판탈출증과 헷갈리기도 하지만 앉아 있을 때는 괜찮다가 일어서거나 걸으면 증상이 심해지는 것이 다르다. 초기를 지나 병증이 심해지면 다리가 무거워지고 저린 증상이 나타난다.
심한 다리 저림으로 나타나는 척추전방전위증은 척추뼈 위아래가 분리돼 서로 어긋난 상태를 말한다. 외부 충격보다는 선천적인 척추분리증이나 퇴행성 변화로 생기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50대 이후에 특히 많은데, 분리된 뼈가 뼈를 통과하는 신경다발이 눌러 허리 통증과 다리 저림 증상이 심하게 나타난다. 엉덩이 통증도 심해 걷는 것이 힘들어진다.
노년층에 많은 골다공증성 척추압박골절은 골다공증으로 뼈가 약해져 작은 충격에도 척추뼈가 부러지거나 무너지는 질환이다. 겨울철 낙상으로 급하게 병원으로 실려 오는 이들도 많지만 아침에 잠자리에서 일어나다가 골절되거나 딱딱한 물건에 부딪쳐서 골절되는 등 생활 속 작은 충격에도 척추뼈가 부러지는 경우도 많다. 그 정도가 약해 모르고 지내는 경우도 종종 있는데 누워 있다 일어날 때, 누운 자세에서 돌아누울 때 등 자세를 바꿀 때 허리 통증이 있으면 병원을 찾는 것이 좋다. 나이 들어 생기는 단순 요통이라고 생각해 방치하는 경우도 많은데 그냥 두면 통증이 엉덩이, 아랫배, 가슴까지 뻗어나가 더욱 괴로워진다.
척추질환은 의외로 증상이 다양해 환자 스스로 질환을 파악하고 병원을 찾기란 쉽지 않다. 중요한 것은 자가진단을 통한 대처는 위험하다는 것이다. 주요 척추질환 증상을 알아두는 것은 좋다. 그러나 어디까지나 참고 수준이어야 한다. 해당 증상이 있을 땐 미루지 말고 병원을 찾아 정확히 진단받고 그에 맞는 치료를 받아야 한다는 것을 잊지 말자. 나이들수록 허리 통증이 1주일 이상 지속되면 병원을 방문해 정밀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
신경외과 전문의서, 대한민국 척추관절 전문병원 1세대 경영자로서 올바른 척추관절질환 치료와 병원 선택법 등에 대해 현장에서 체득한 정보들 위주로 풀어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