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브릿지와 함께하는 건강한 관절 이야기
일상생활 손목 과사용 증후군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본브릿지병원
전문의 정종원 원장
입력 2014-10-16
신체기관 중 가장 많이 쓰는 부위는 어디일까. 눈, 코, 입, 발 무릎 등 많겠지만 손도 무시할 수 없다. 다행히 손은 하중을 크게 받는 부위가 아니기 때문에 중증질환이 발병할 확률이 낮다. 하지만 미세한 자극이 계속되어 크고 작은 질환이 생기는 곳이 바로 손이다. 흔히 손과 손목 등 수부 질환의 대부분은 손을 과하게 사용해서 발병하는 경우가 많다.
손목의 과한 사용으로 오는 질환 중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손목터널증후군이다. 손목터널증후근은 최근 그 발병률이 더욱 높아졌고, 40-50대에서 흔하게 볼 수 있다. 원래는 집안일을 자주하는 주부에게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질환이었지만 최근 스마트폰 등 전자기기의 사용이 늘어나면서 다양한 연령대에서 발견할 수 있다.
손의 과사용으로 오는 또 다른 질환 중 하나는 인대손상이 있다. 손이나 손목에 충격이 가할 경우 인대가 손상되는 경우는 굉장히 흔하다. 그 중 주상월상골간 인대파열을 가장 많이 볼 수 있으며 대부분 격한 활동을 했을 경우 나타난다. 주상월상골간 인대파열 같이 수부 부위에 인대손상의 경우는 운동선수나, 요리사 등 손을 자주사용하거나 기구를 다루는 특정 사람에게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질환이었다. 하지만 요즘엔 생활스포츠나 레저스포츠 등 취미생활의 여가스포츠가 활성화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스포츠 활동을 즐기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여러 가지 부상 위험에 노출되면서 손목질환 환자가 크게 늘어났다.
과한 사용으로 오는 손목 질환의 경우 움직임을 최소화하면 치료의 반은 성공이라고 볼 수 있다. 근본적으로 손목의 사용으로 오는 질환이기 때문에 깁스나 보호대를 착용하여 손목의 움직임을 최소화하고 비수술과 약물, 운동 치료 등을 같이 진행한다. 이때 주의할 점은 오랫동안 손과 손목의 사용을 중지하면 인대가 짧게 굳어져 버릴 수 있기 때문에 적당한 움직임을 유지하고 간단한 운동이나 스트레칭을 해주는 것이 좋다.
/기고자 : 본브릿지병원 전우주 원장
손목의 과한 사용으로 오는 질환 중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손목터널증후군이다. 손목터널증후근은 최근 그 발병률이 더욱 높아졌고, 40-50대에서 흔하게 볼 수 있다. 원래는 집안일을 자주하는 주부에게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질환이었지만 최근 스마트폰 등 전자기기의 사용이 늘어나면서 다양한 연령대에서 발견할 수 있다.
손의 과사용으로 오는 또 다른 질환 중 하나는 인대손상이 있다. 손이나 손목에 충격이 가할 경우 인대가 손상되는 경우는 굉장히 흔하다. 그 중 주상월상골간 인대파열을 가장 많이 볼 수 있으며 대부분 격한 활동을 했을 경우 나타난다. 주상월상골간 인대파열 같이 수부 부위에 인대손상의 경우는 운동선수나, 요리사 등 손을 자주사용하거나 기구를 다루는 특정 사람에게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질환이었다. 하지만 요즘엔 생활스포츠나 레저스포츠 등 취미생활의 여가스포츠가 활성화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스포츠 활동을 즐기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여러 가지 부상 위험에 노출되면서 손목질환 환자가 크게 늘어났다.
과한 사용으로 오는 손목 질환의 경우 움직임을 최소화하면 치료의 반은 성공이라고 볼 수 있다. 근본적으로 손목의 사용으로 오는 질환이기 때문에 깁스나 보호대를 착용하여 손목의 움직임을 최소화하고 비수술과 약물, 운동 치료 등을 같이 진행한다. 이때 주의할 점은 오랫동안 손과 손목의 사용을 중지하면 인대가 짧게 굳어져 버릴 수 있기 때문에 적당한 움직임을 유지하고 간단한 운동이나 스트레칭을 해주는 것이 좋다.
/기고자 : 본브릿지병원 전우주 원장
* 본 칼럼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우리의 관절은 우리가 아침에 눈을 뜨는 순간부터 밤에 눈을 감고 잠을 자는 그 시간까지도 종일 쉴새 없이 움직이고 있습니다. 당신의 소중한 내일을 이어주는 관절에 대한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