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광호 원장의 뷰티 가이드

안면홍조증 왜 생길까?

초이스피부과

최광호 원장

피부에 분포하는 혈관(핏줄)은 외부 온도에 따라 수축, 확장하면서 피부의 온도를 조절하고 영양을 공급하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이러한 피부 혈관이 수축기능을 상실하고 지속적으로 확장되어 붉게 겉으로 드러나는 경우가 ‘혈관확장증’이다. 이렇게 수축 기능을 상실한 혈관은 피부의 온도 조절 기능이 없어지고 영양 공급도 제대로 하지 못해 피부가 점점 얇아지고 푸석푸석해진다. 혈관확장증은 주로 얼굴•목•머리•가슴 부위의 피부에 주로 나타나는데 얼굴에 가장 많이 나타나 ‘안면홍조증’으로 불리기도 한다.

선천적으로 혈관이 취약할 경우에도 모세혈관은 확장될 수 있지만, 부끄러움이나 창피함 같은 ‘정서적 자극’, 폐경기로 인한 ‘호르몬 불균형’,  ‘스테로이드 연고의 오남용’에 의해서도 모세혈관이 확장될 수 있다. 특히 폐경기의 여성의 70%는 안면홍조를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뿐만 아니라 오랫동안 여드름이나 알레르기 피부염을 앓아온 경우나 자외선에 의한 광노화, 동상, 온도의 급격한 변화 등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심리적으로 놀림을 받거나 창피함을 느껴서 생기는 경우에는 자율 신경이 혈관을 확장시켜 안면홍조가 생긴다. 누구에게나 이 같은 정서적 자극이 생기면 얼굴에 열이 오르면서 가렵거나 당기는 듯한 안면홍조가 생길 수 있다. 단, 이 같은 증상이 일시적이지 않고 심하게 붉어지는 증상이 계속되거나 유관으로도 모세혈관이 피부 위로 얽혀 보이면 안면홍조증을 의심할 수 있다. 안면홍조증이 심한 사람은 고개를 숙였다가 들기만 해도 얼굴이 붉어질 수 있다. 안면홍조는 남성보다 주로 여성에게 많이 나타난다.

안면홍조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최대한 모세혈관을 자극하지 않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최선이다. 우선 주변 온도는 혈관을 확장시키는 더운 환경 보다는 서늘한 온도가 좋다. 특히 실내 외 온도차이로 인해 얼굴이 붉어진다면 이는 외부의 온도 변화에 따라 모세혈관이 확장된 경우로 사우나나 찜질방 등은 피하는 것이 좋다. 추운 곳에 있다가 실내로 들어갈 경우, 혈액순환의 활성화를 위해 손바닥으로 볼을 감싸고 마사지를 해주면 도움이 된다.

특히 자외선은 모세혈관을 확장 시키기 때문에 직사광선을 피하고 외출 시에는 자외선 차단제를 꼭 바른다. 외출 후에는 자극적이지 않은 세안제로 세안을 하고, 지나친 각질 제거는 피부에 자극이 될 수 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음식물도 안면홍조에 영향을 끼치므로 너무 맵거나 뜨거운 자극적인 음식이나 알코올, 발효성 식품 등은 피하고, 혈관 보호 기능을 하는 비타민E를 섭취하는 것도 좋다.

한 번 수축기능을 상실한 혈관은 저절로 회복되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치료가 필요하다. 최근에는 피부과 레이저의 발전으로 확장된 모세혈관은 파괴하고 정상적인 모세혈관은 보존하여 주는 치료가 안면홍조증에 적극 도입되고 있다.

대표적인 혈관레이저인 ‘퍼펙타’는 브이빔 레이저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환자가 느끼는 통증과 멍과 자반 등의 부작용이 거의 없으면서도 모세혈관 확장증, 하지 정맥류 등과 같은 혈관성 피부 질환에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이와 동시에 피부 속 콜라겐의 재합성을 촉진해 피부 탄력에 도움을 얻을 수 있는 것도 장점이다.

초이스피부과 최광호 원장


 

* 본 칼럼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초이스피부과 최광호 원장이 전하는 아름다움을 향한 가이드

네이버배너
프렌즈배너

헬스조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