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과 자궁건강

임신해서 아이 낳은 내가 불임이라고? 둘째 불임부부도 있어요

여성미한의원

조선화 원장

 

임신해서 아이 낳은 내가 불임이라고?

둘째 불임부부도 있어요.

 

󰋪 특별히 피임을 하지 않는데도 임신이 어렵다.
󰋪 임신을 계획한지 1년이 지났으나 임신이 되지 않는다.
󰋪 평소 생리가 불규칙한 편이다.
󰋪 성격이 예민하다는 말을 자주 듣는다.
󰋪 약을 복용해야 될 정도로 생리통이 심하다.

다음 문항에서 두 가지 이상이 해당된다면 이는 불임이라 할 수 있다. 많은 부부들이 오해를 하는 것은 첫째를 임신하고 출산을 했기 때문에 불임부부라고는 생각지도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임신을 계획하고 있으나 시간이 지남에도 불구 쉽게 임신이 되지 않는 경우라면 이는 불임으로 보아야 한다.

여성질환전문 여성미한의원 조선화 원장은 “임신이 되지 않은지 1년이 되기 전이라면 배란날짜를 정확하게 계산하여 배란기에 맞추어 부부관계를 갖도록 한다. 그러나 그래도 임신이 되지 않는다면 혹시 자궁에 이상이 있어 임신이 되지 않는 것은 아닌지 병원을 찾아 검진을 받아 보는 것이 좋겠다.”고 전한다.

보통 불임은 배란장애에 의한 불임, 자궁내에 기질적인 이상에 의한 불임, 남성의 정자 이상에 의한 불임으로 나뉠 수 있다. 여성의 자궁에 이상이 있는 경우라면 이는 자궁 내 기질적인 이상에 의한 불임으로 분류되고 자궁근종, 자궁내막증, 자궁선근종과 같은 자궁질환을 의심해보는 것이 좋겠다.

한방에서는 만약 자궁근종, 자궁내막증, 자궁선근종, 난소낭종, 나팔관이상과 같은 자궁내 기질적인 이상이 있는 경우라면 발병환경과 원인을 찾음으로써 질병의 악화를 막고 자궁의 기능적인 부분을 회복하는 치료를 하게 된다.

또한, 굳이 기질적인 이상이 없더라도 자궁이 정상적인 기능을 회복하여 건강한 임신이 될 수 있도록 생리량이나 생리통과 같은 생리이상의 문제와 더불어 연관된 오장육부의 건강상태를 체크하게 된다.

불임극복을 위해서는 식이요법이나 생활습관 등을 개선하는 것도 좋겠다. 이는 남성들의 정자 수나 정자들의 활동량을 회복시키는데 도움이 될 뿐 아니라 여성들의 자궁내 환경을 조성하여 배란일을 규칙적으로 만들고 착상이 쉽게 만들어주기 때문이다.

여성질환전문 여성미한의원 조선화 원장은 “음식을 먹을 때에는 파, 당근, 토마토, 버섯과 같은 알칼리성 식품을 섭취하는 것이 좋고 수수, 콩, 현미, 잣과 같은 잡곡류를 먹는 것도 좋다.”며 “되도록 유기농식품을 먹고 기름이 많은 육류의 섭취는 꺼리는 것이 좋겠다.”고 조언한다.

이 밖에도 하루 30~60분 정도 자전가를 타거나 빨리 걷기 등을 통해 유산소 운동을 하도록 하며, 하루 30~40분 정도 반신욕, 하복부찜질, 좌훈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임신을 해서 첫째를 출산한 부부라고 해서 불임부부가 아닌 것은 아니다. 이에 불임부부가 아닌지 의심된다면 병원을 찾아 불임의 원인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불임 치료는 물론 생활습관 교정 등도 함께 병행하는 것이 좋겠다.

여성미한의원 조선화 원장

 

* 본 칼럼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여성의 자궁건강을 통한 진정한 아름다움 추구

�ㅼ씠踰꾨같��
�꾨젋利덈같��

�꿔꺂��옙占쎌삕占쎈낌�뺧옙醫묒삕 �좎럡�쀯옙��쇿뜝占� �좎럩伊숋옙恝�숋옙�깆굲占쎌쥜��

�좎럩伊숋옙��숋옙�녿쫯�좎럥�뺧옙��삕影��덈튉占쎌쥜�� �좎럩伊숋옙�듭쭍占쎈굞�뺝뜝�숈삕占쎌슜�삼옙醫묒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