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소리 컬럼

잦은 성대모사, 병 부른다

예송이비인후과

김형태 원장

 

잦은 성대모사, 병 부른다

우리나라에서 성대모사와 모창은 매우 인기 있는 방송소재로 쓰이고 있으며 연예인들의 목소리를 흉내내는 것을 뛰어난 재주로 여기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성대모사나 모창을 지속적으로 반복하면 자신의 성대와 목의 구조와는 다른 발성패턴을 갖게 되며, 비정상적인 발성근육 사용으로 인해 병에 걸릴 수도 있다.

특히 청소년의 경우 언어와 발성패턴의 인식이 쉽게 뇌로 학습되므로 30대 이전에 성대모사와 모창을 과도하게 지속할 경우 결국 자신의 목소리를 잃고 발성장애를 초래하기 쉽다. 성대모사로 인한 대표적인 발성장애가 영화배우 험프리 보가트와 로렌 바콜(Lauren Bacall)의 목소리를 따라하다 생겨난 ‘보가트-바콜 증후군’이다.

중년층 대부분은 미국 영화배우 험프리 보가트의 ‘카사블랑카’란 영화를 기억할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이 영화에서 반란군인 옛 애인과 그녀의 남편을 구하기 위해 모든 것을 버리는 그의 애절한 연기를 보며 많은 눈물을 흘렸다. 특히 보가트의 낮고 촉촉한 목소리는 같은 남성들도 매혹되는 감성적인 목소리였다.

험프리 보가트의 아내였던 여배우 로렌 바콜 역시 여성으로서는 매우 낮은 독특한 음색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인기가 있었다. 1940년대 보가트와 바콜이 주연을 맡았던 많은 영화들은 청소년뿐만 아니라 중장년층에서도 큰 인기를 끌면서 우상과 같은 존재로 각인됐다.

보가트-바콜 커플의 음성은 특히 낮은 톤의 목소리가 권위 있고 교양 있는 것으로 여겨지던 시대 분위기에 딱 들어맞았다. 오늘날까지도 이들 부부와 같은 바리톤조의 낮은 목소리는 방송국 앵커의 대표적인 필수조건이 되고 있다.

1940~50년대 미국 청소년들은 보가트-바콜의 목소리를 흉내내는 경우가 많았다. 이때 무리하게 목소리를 낮춰 성대 바깥쪽의 근육이 과도하게 사용되고 턱 근육이 심하게 경직되면서 자신의 목 상태와 맞지 않는 무리하고 잘못된 발성습관이 확산됐다.

이로 인해 많은 청소년들이 높은 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말을 하면 할수록 목소리가 나빠지는 음성피로현상을 겪는 일이 흔하게 일어났다. 또 말을 할 때 목에 통증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았으며 쉰 목소리를 내게 되는 증상이 나타나게 됐다.

당시 음성 전문의들은 이러한 증상을 ‘보가트-바콜 증후군(Bogart-Bacall Syndrome)’이라 이름붙였다. 남의 목소리를 따라하는 성대모사와 관련된 새로운 발성장애 질환이 생겨난 것이다.

보가트-바콜 증후군 같은 발성장애는 이제 음성치료와 음성재활프로그램을 통해 교정이 가능하며 잘못 사용된 성대근육 역시 보톡스를 선택적으로 주입해 치료가 가능하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남의 목소리를 따라하기보다 자신의 소중한 목소리를 지키고 아름답게 가꾸는 노력일 것이다.
 

/ 김형태-예송이비인후과 음성센터 원장

* 본 칼럼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외모보다 더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목소리의 모든 것

네이버배너
프렌즈배너

癲ル슢��옙�볦삕�좑옙 占쎄퀗�э옙占� 占쎌쥙�ο옙�쇱삕�좑옙

占쎌쥙�э옙�낆릇占쎈툕�쀯옙節덈빝�좑옙 占쎌쥙�⑵짆�낆삕占쏙옙�용쐻�좑옙